충남환경운동연합 "물 부족과 홍수피해 예방 해법 될 수 없어"
청양군의회 "환경적·사회적·경제적 재앙 초래할 무책임한 사업"
환경부의 청양 지천 다목적댐 건설 계획을 두고 반대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충남환경운동연합은 7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청양 지천 다목적댐은 지난 1990년부터 3차례에 걸쳐서 추진 계획이 발표됐지만 매번 청양 군민들의 반대로 무산됐다"며 "댐 건설이 물 부족과 홍수피해 예방을 위한 해법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2022년 상수도 통계를 보면 청양에서 일일 1만 1634t의 용수를 사용하는데 지하수 이용량이 5426t으로 가장 많다"며 "지하수를 포함한 지역의 물을 잘 이용하는 것은 지역 스스로 물 자치권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고, 청양군은 이미 그렇게 하고 있어 추가 댐 건설이 필요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지난해 7월 집중호우로 청양 지천이 범람한 것은 금강과 만나는 청남면, 목면에서 제방이 붕괴하면서 발생한 것"이라며 "지난 2022년 홍수 피해가 컸던 남양면의 경우 마을 하천 정비를 통해 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점을 볼 때 홍수 방어를 위한 정확한 원인 진단을 하고 댐 건설 계획을 세운 것인지 묻고 싶다"고 지적했다.
청양군의회도 성명을 통해 청양 지천 다목적댐 건설 계획 철회를 촉구했다.
이들은 "환경부는 댐 건설이 기후 위기 대응과 미래 용수 확보라는 명분을 내세우고 있지만 청양 군민에게는 돌이킬 수 없는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재앙을 초래할 무책임한 사업"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5900만㎥ 규모의 댐 건설로 청양 군민 55가구는 삶의 터전을 잃게 될 것이고, 수중생태계 파괴로 인한 녹조현상은 자연을 회복 불가능한 상태로 만들 것"이라며 "지천 다목적댐은 소양강댐이나 충주댐 같은 대규모 댐이 아니기 때문에 홍수 조절의 효과가 미미해 오히려 배수시설이나 제방 관리가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군의회는 "용담댐, 영월댐, 한탄강댐 등 과거의 댐 건설로 주민들이 겪었던 환경적, 사회적 피해는 뼈아픈 교훈"이라며 "군민의 생존권과 자연환경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앞서 환경부가 지난달 발표한 기후위기댐 후보지 14곳 가운데 충남에서는 청양 지천 다목적댐이 선정됐다.
대전세종충청취재본부 김아영 기자 haena935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