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직업능력심사평가원과 취업을 희망하는 일반고 학생들의 직업능력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특화훈련 과정을 운영한다고 4일 밝혔다.
일반고 특화훈련은 일반고 3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훈련 사업으로, 고등학생을 위한 맞춤형 훈련과정을 공급하고 있다.
올해는 전국 235개 훈련기관의 548개 훈련과정이 선정됐으며,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들은 기계설계, 사물인터넷(IoT), 미용, 음식서비스 등 33개 직종의 훈련을 받을 수 있다.
훈련생들은 직종별 전공 교육뿐만 아니라 노동인권·안전보건교육 등을 통해 직업 현장에서 실제로 필요한 지식을 습득한다. 이력서 작성법 강의, 모의 면접, 1:1 취업 상담 등을 통해 체계적인 취업 지원도 받을 수 있다. 훈련비는 전액 무료이며, 훈련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훈련장려금도 지급된다.
올해는 학생들의 훈련 여건을 개선하고 다양한 진로 탐색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원을 확대한다. 훈련장려금을 월 11만6000원에서 20만원으로 인상하며,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와의 연계를 통해 진로상담 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첨단·디지털 직종에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을 적용한 신기술과정을 도입한다.
고용노동부와 직업능력심사평가원은 2015년부터 9년간 약 6만명의 일반고 학생들에게 훈련을 지원했다. 작년에는 총 5544명이 훈련에 참여했으며, 70.5%의 취업률을 기록했다.
일반고 3학년은 누구나 직업훈련포털을 통해 훈련기관과 과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가까운 고용센터에 방문하여 훈련 참여 방법을 안내받을 수 있다.
권태성 고용부 직업능력정책국장은 “일반고 특화훈련을 통해 기업이 원하는 실무인재를 양성하고 노동시장 진입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