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타볼레오] 럭셔리 전기 세단의 기준…메르세데스-벤츠 EQE 350+

시계아이콘02분 03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심플하지만 고급스러움을 겸비한 내외관
주행질감, 내연기관과 큰 차이 없어 만족

[타볼레오] 럭셔리 전기 세단의 기준…메르세데스-벤츠 EQE 350+
AD

[아시아경제 성기호 기자] 전기차가 각광을 받는 시대, 메르세데스-벤츠가 고급 전기 세단의 해답으로 '더 뉴 EQE 350+'를 내놨습니다. EQE는 전기세단인 만큼 조용하고 안락한 승차감이 특징입니다. 여기에 벤츠의 감성이 더해지면서 고급스러움을 가미 했죠. 가장 큰 특징은 '내연기관의 질감을 가진 전기차'라는 것입니다. 기존 벤츠 오너들에게는 전기차 시대 '첫 벤츠'로 더할 나위 없는 차량으로 보였습니다. EQE를 서울 성동구에서 강원도 원주까지 약 100㎞를 주행하며 직접 만나봤습니다.


유려한 곡선…심플하지만 화려한 디자인

처음 EQE를 만나면 드는 느낌은 '생각보다 크다'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가 있는 'E-클래스'보다 큰 체격으로 이목을 집중시키죠.


4965mm에 이르는 긴 전장은 어지간한 고급세단을 압도하는 수준입니다. 또 1905mm와 1510mm에 달하는 전폭과 전고는 실외는 물론이고 실내까지 넉넉함을 전해줍니다. 여기에 'S-클래스 SWB' 보다 긴 3120mm의 휠베이스로 여유로운 실내 공간을 선사합니다.


[타볼레오] 럭셔리 전기 세단의 기준…메르세데스-벤츠 EQE 350+

전반적인 외관 디자인은 메르세데스-벤츠가 전동화 시대에 추구하는 유려하고 깔끔한 디자인입니다. 앞서 공개된 EQS의 디자인 큐를 그대로 계승한 느낌이죠. 전면은 낮고 날렵한 이미지라면 후면은 전반적으로 둥글둥글합니다. 그간 벤츠가 중후한 이미지를 강조해 왔다면 전기차 시대를 맞아 조금은 젊은 감각을 더한 것이 특징입니다.


외관이 유려한 곡선이 인상적이라면 내부는 심플하지만 화려한 디자인이 눈길을 끕니다. 심플하지만 화려하다는 단어가 상반되는 뜻이기는 하지만 실내를 직접 보시면 무슨 말인지 알 수 있으실 겁니다.


대시보드와 센터패시아는 잘 정돈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에 64개 색상과 다채로운 기능이 더해진 엠비언트 라이팅으로 화려함을 더합니다. 특히 운전석에 앉으면 디스플레이보다는 대시보드의 엠비언트 라이트가 먼저 시선을 빼앗는데요. 벤츠의 삼각별 패턴이 가득합니다. 상당히 오묘한 느낌인데 이 부분이 심플하지만 화려한 이미지를 가장 강하게 던져주는 요소입니다.


[타볼레오] 럭셔리 전기 세단의 기준…메르세데스-벤츠 EQE 350+

실내 공간은 충분히 여유롭습니다. 루프 실루엣이 날렵하지만 1열 및 2열 모두 헤드룸이 넉넉합니다. 2열 시트가 조금 서 있는 듯한 형상이지만 착좌감은 조금도 불편함 없이 안락합니다. 다만 차량의 체급을 고려한다면 430L의 트렁크 용량은 다소 아쉬운 부분입니다. 그래도 상황에 따라 2열 시트를 폴딩 해 추가적인 공간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차고 넘치는 힘…울렁거림이 없는 그야말로 '세단'

EQE는 벤츠의 대형 전기차 전용플랫폼 ‘EVA2’를 토대로 만들어졌습니다. 그야말로 뼈대부터 다시 태어난 순수 전기차입니다. 하지만 주행 질감에서는 기존 내연기관과 별 차이를 느끼지 못했습니다. 기존 벤츠의 주행 질감이 훌륭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더할 나위 없는 큰 장점입니다.


가속과 안정성도 뛰어납니다. 고속까지 올라가는데 너무나도 쉽게 가속이 되고, 안정성이 높다 보니 고속 주행 중에도 운전자가 고속으로 달리고 있다는 느낌을 받기가 어려울 정도입니다. 88.89㎾h의 배터리를 탑재해 최고출력 215㎾, 최대토크 565Nm의 주행 성능이며, 이걸 환산하면 최고출력 288마력, 최대토크 57.6㎏.m 수준입니다. 제로백(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에 도달하는 시간)은 6.4초입니다.


[타볼레오] 럭셔리 전기 세단의 기준…메르세데스-벤츠 EQE 350+

EQE를 시승하며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회생 제동 부분이었습니다. 스티어링 휠의 패들시프트로 회생 제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요 총 4단계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특히 차가 알아서 회생제동을 설정해 주는 '인텔리전트 회생제동'이 가장 마음에 들었는데요, 전기차 특유의 울컥거림이 없습니다. 전기차를 타다 보면 가장 문제가 되는 멀미도 전혀 없었습니다. 가속할 때 전기모터 소리가 들리는 것을 제외하면 내연기관의 질감 그대로였습니다.


소음 부분도 세단에 걸맞은 수준입니다. 이중 접합 설계된 윈도우, 낮은 회전저항으로 고속 주행에도 실내에는 큰 소음이 유입되지 않았습니다. 여기에 저소음, 높은 접지력을 보이는 전기차 전용 타이어가 적용되면서 로드노이즈도 큰 폭으로 감소됐죠.


[타볼레오] 럭셔리 전기 세단의 기준…메르세데스-벤츠 EQE 350+

EQE는 1회 충전 시 471km(복합 기준)의 주행 거리를 보장합니다. 공인 전비는 4.3km/kWh(복합 기준)이며 도심 및 고속 전비는 각각 4.5km/kWh, 4.1km/kWh입니다. 시승해보니 연비 운전을 한다면 충분히 550km 이상을 주행할 수 있을만한 성능이었습니다. 최대 170㎾ 출력의 급속충전과 8.8㎾ 출력의 완속충전을 지원하며, 급속충전 시 배터리 잔량 10%에서 80%까지 충전하는 데 32분이 걸립니다.


AD

EQE는 전기차이면서도 130여년간 벤츠 쌓아온 ‘안락한 승차감’을 그대로 맛볼 수 있는 차량입니다. 특히 벤츠의 강점은 유지하면서도 더욱 스마트해진 커넥티드카 시스템과 각종 편의사양이 대거 적용됐다는 점에서 강점이 있는 차량이었습니다. 미래 벤츠의 방향성을 엿볼 수 있는 것이죠. EQE 350+의 국내 판매 가격은 1억160만원입니다.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4.1207:00
    드론 격추하기 시작한 북한군…수세로 몰린 우크라
    드론 격추하기 시작한 북한군…수세로 몰린 우크라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이 초기 고전에도 불구하고 현대전 전술에 빠르게 적응하며 전세를 역전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크라이나가 점령했던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북한군을 앞세운 러시아군의 반격으로 우크라이나군이 후퇴를 거듭하면서 자국 국경 방어에 나서야 하는 상황으로 전환됐다. 초기에는 무인기(드론) 전술에 적응하지 못해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했던 북한군이 짧은기간 내에 드론 대응 전술을 익

  • 25.04.0609:01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관 전원일치 8 대 0으로 파면됐다. 한국 정치사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대통령이 파면됐다. 불행한 역사다. 지난 4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이상돈 전 의원은 "국민의힘이 플랜B가 없다"며 변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터뷰 전문은 아래 영상을 통해 볼 수 있다. 윤 대통령이 8:0으로 파면됐다.영어로 표현하면 심플 앤드 클리어다.

  • 25.04.0608:00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최근 파나마 운하 항구 운영권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 간의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홍콩 재벌 리카싱 회장이 양국의 압력 속에서 곤란한 상황에 놓였다. 리카싱이 이끄는 CK 허친슨 그룹은 파나마 운하 항구 2곳의 운영권을 미국 투자기업 블랙록에 매각하려 했으나, 중국 정부의 강력한 압박으로 최종 계약 단계에서 보류하게 되었다. 이는 단순한 비즈니스 거래를 넘어 글로벌 해양 패권을 둘러싼 미중 간 치열한 경쟁의

  • 25.04.0508:00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중국이 6개월 만에 대만 포위 훈련을 재개하면서 동북아시아의 군사적 긴장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이번 훈련은 미국이 전 세계를 향해 상호 관세를 발표한 시점과 맞물려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은 라이칭더 대만 총통을 '독충'으로 표현하며 대만에 대한 군사적 압박을 강화하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대만군에 따르면, 자국 해안 일대에서 발견된 중국 함선은 군함 13척, 경비정 4척을 포함해 총 71척에 달했다. 또한

  • 25.04.0110:59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지 고작 2개월여 만에 3연임 도전에 나설 것임을 시사해 미국 정계에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연임이 가능한 방법이 있다"고 언급하며 미국 헌법의 대통령 임기 제한 조항을 우회할 수 있다며 자신감까지 내비쳤다. 미국의 대통령은 수정헌법 22조에 따라 3연임을 금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2016년 대선에서 승리해 한 차례 대통령직을 수행했고, 이후 조 바이든

  • 25.04.0814:57
    은행장도 벌벌 떤다… '금융판 중대재해법'
    은행장도 벌벌 떤다… '금융판 중대재해법'

    #시중 은행 고위 임원 A씨는 올해 들어서 전국의 지점에서 올라오는 크고 작은 문제들을 매일 보고 받는 중이다. 책무구조도를 도입하면서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지방의 작은 지점에서 벌어지는 1000원 단위의 작은 계산 착오 문제까지 본인에게 책임이 돌아올 수 있는 상황이라 신경 써야 할 일이 배로 늘었다. #정부 고위 관계자 B씨는 최근 금융사 최고경영자(CEO)들을 만날 때마다 책무구조도와 관련된 하소연을 듣는 일이 많아

  • 25.04.0806:10
    ④신한·우리, 내부통제 실효성 강화…농협·하나, 내부통제 문화 정착
    ④신한·우리, 내부통제 실효성 강화…농협·하나, 내부통제 문화 정착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은행장도 벌벌 떤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금융판 중대재해법①
    은행장도 벌벌 떤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금융판 중대재해법①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②"밑에서 몇백억 떼먹어도 책임지는 경영자 없어"
    ②"밑에서 몇백억 떼먹어도 책임지는 경영자 없어"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③해외선 이미 도입된 제도…"차등규제" 목소리도
    ③해외선 이미 도입된 제도…"차등규제" 목소리도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1207:00
    드론 격추하기 시작한 북한군…수세로 몰린 우크라
    드론 격추하기 시작한 북한군…수세로 몰린 우크라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이 초기 고전에도 불구하고 현대전 전술에 빠르게 적응하며 전세를 역전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크라이나가 점령했던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북한군을 앞세운 러시아군의 반격으로 우크라이나군이 후퇴를 거듭하면서 자국 국경 방어에 나서야 하는 상황으로 전환됐다. 초기에는 무인기(드론) 전술에 적응하지 못해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했던 북한군이 짧은기간 내에 드론 대응 전술을 익

  • 25.04.0609:01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관 전원일치 8 대 0으로 파면됐다. 한국 정치사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대통령이 파면됐다. 불행한 역사다. 지난 4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이상돈 전 의원은 "국민의힘이 플랜B가 없다"며 변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터뷰 전문은 아래 영상을 통해 볼 수 있다. 윤 대통령이 8:0으로 파면됐다.영어로 표현하면 심플 앤드 클리어다.

  • 25.04.0608:00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최근 파나마 운하 항구 운영권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 간의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홍콩 재벌 리카싱 회장이 양국의 압력 속에서 곤란한 상황에 놓였다. 리카싱이 이끄는 CK 허친슨 그룹은 파나마 운하 항구 2곳의 운영권을 미국 투자기업 블랙록에 매각하려 했으나, 중국 정부의 강력한 압박으로 최종 계약 단계에서 보류하게 되었다. 이는 단순한 비즈니스 거래를 넘어 글로벌 해양 패권을 둘러싼 미중 간 치열한 경쟁의

  • 25.04.0508:00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중국이 6개월 만에 대만 포위 훈련을 재개하면서 동북아시아의 군사적 긴장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이번 훈련은 미국이 전 세계를 향해 상호 관세를 발표한 시점과 맞물려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은 라이칭더 대만 총통을 '독충'으로 표현하며 대만에 대한 군사적 압박을 강화하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대만군에 따르면, 자국 해안 일대에서 발견된 중국 함선은 군함 13척, 경비정 4척을 포함해 총 71척에 달했다. 또한

  • 25.04.0110:59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지 고작 2개월여 만에 3연임 도전에 나설 것임을 시사해 미국 정계에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연임이 가능한 방법이 있다"고 언급하며 미국 헌법의 대통령 임기 제한 조항을 우회할 수 있다며 자신감까지 내비쳤다. 미국의 대통령은 수정헌법 22조에 따라 3연임을 금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2016년 대선에서 승리해 한 차례 대통령직을 수행했고, 이후 조 바이든

  • 25.04.0814:57
    은행장도 벌벌 떤다… '금융판 중대재해법'
    은행장도 벌벌 떤다… '금융판 중대재해법'

    #시중 은행 고위 임원 A씨는 올해 들어서 전국의 지점에서 올라오는 크고 작은 문제들을 매일 보고 받는 중이다. 책무구조도를 도입하면서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지방의 작은 지점에서 벌어지는 1000원 단위의 작은 계산 착오 문제까지 본인에게 책임이 돌아올 수 있는 상황이라 신경 써야 할 일이 배로 늘었다. #정부 고위 관계자 B씨는 최근 금융사 최고경영자(CEO)들을 만날 때마다 책무구조도와 관련된 하소연을 듣는 일이 많아

  • 25.04.0806:10
    ④신한·우리, 내부통제 실효성 강화…농협·하나, 내부통제 문화 정착
    ④신한·우리, 내부통제 실효성 강화…농협·하나, 내부통제 문화 정착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은행장도 벌벌 떤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금융판 중대재해법①
    은행장도 벌벌 떤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금융판 중대재해법①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②"밑에서 몇백억 떼먹어도 책임지는 경영자 없어"
    ②"밑에서 몇백억 떼먹어도 책임지는 경영자 없어"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③해외선 이미 도입된 제도…"차등규제" 목소리도
    ③해외선 이미 도입된 제도…"차등규제" 목소리도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