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과학을읽다]'정오(正午)'가 아닌 '오정(午正)'?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과학을읽다]'정오(正午)'가 아닌 '오정(午正)'? 보통 낮 12시를 정오라고 합니다. 원래는 '오정'이라고 해야 합니다.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AD



[아시아경제 김종화 기자]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정오(正午)'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낮 12시를 말하는데, 낮 12시 정각이 되면 라디오에서 "정오를 알려드립니다"라는 아나운서의 목소리는 아주 익숙하지요.

그런데 정오라는 단어는 '오정(午正)'이라고 표기하거나 말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밤 12시를 ‘자정(子正)'이라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밤 12시를 '정자'라고는 하지 않지요.


옛날 우리나라는 하루를 12등분하고, 한 밤중을 '자시(子時)'로 정한 12간지가 이용된 '12진각법(十二辰刻法)'을 사용했습니다. 이 체계는 19세기까지 사용됐다고 합니다.

자시는 밤 11시~새벽 1시까지, 축시(丑時)는 새벽 1시~3시까지, 인시(寅時)는 새벽 3시~5시까지 등입니다. 여기까지는 누구나 알고 있겠지요? 각 시는 다시 세분화돼 '초(初)'와 '정(正)'으로 나뉘는데, 각 시의 앞쪽은 초, 뒤쪽은 정으로 구분했습니다.


자시의 경우 '자초(子初)와 '자정(子正)'으로 나뉘는 것이지요. 그러니까 밤 11시~12시는 자초가 되고, 밤 12시~새벽 1시는 자정이 되는 것입니다. 낮 12시도 마찬가지입니다. 오시는 오전 11시~오후 1시까지인데 오전 11시~낮 12시까지는 '오초(午初)', 낮 12시~오후 1시까지는 '오정(午正)'이라고 해야 합니다.


각 초와 각 정은 다시 5개의 각(刻)으로 나눠 초각부터 4각까지 나누어집니다. 초의 경우 초초각, 초1각, 초2각, 초3각, 초4각으로, 정은 정초각, 정1각, 정2각, 정3각, 정4각의 순서로 시간을 정했습니다. 맨 마지막의 초4각과 정4각은 다른 각보다 길이가 짧은 6분의 1각이었습니다. 하루는 100각으로 이뤄졌지요.


그러다가 세종대왕이 해시계(앙부일구)를 만들면서 하루는 96각으로 조정됩니다. 각 초와 각 정은 길이가 똑같은 4개의 각으로 구성되는 것이지요. 초는 초초각, 초1각, 초2각, 초3각으로, 정은 정초각, 정1각, 정2각, 정3각으로 나뉩니다. 요즘은 '일각(一刻)'을 15분으로 알고 있는 것도 세종대왕의 해시계 덕분인 것입니다.

[과학을읽다]'정오(正午)'가 아닌 '오정(午正)'? 해시계(앙부일구)는 하루를 96각으로 나눕니다.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오정이 어떻게 정오가 됐는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다만, 둘 다 틀린 말은 아닙니다. 낯설뿐이지요. 자정이 익숙하고 정자가 낯선 것과 같습니다. 그리고, 정오와 자정은 딱 12시 정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정오와 자정이 시작됨을 알리는 것이지요. 정확하게는 낮 12~오후1시 사이를 정오, 밤 12시~새벽 1시 사이는 자정이라고 합니다.


결국 우리 조상들도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눠 사용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혹시 사극이나 역사영화를 볼 때 서로 약속을 정하면서 "유초(酉初)에 만나세" 등과 같은 대사를 들어보셨나요? 유시(酉時)가 오후 5시~7시니까 유초는 오후 5시~6시 사이를 말하는 것입니다. 1시간 사이에 약속장소에 도착하면 됩니다. 여기서 '코리안타임'이 유래한 것일까요?


요즘은 과학기술의 발달로 시계가 보다 정밀해지고, 시침만 있던 시계에 분침(分針)과 초침(秒針)이 생기면서 "5시35분에 만나자"는 약속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19세기 이전에는 "유초 2각(5시16분~30분)에 만나세"라고 약속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시간 약속이었을 것 같습니다.








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