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하늘의 집무실' 자가용 제트기

시계아이콘01분 4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중화권 슈퍼리치를 잡아라"...1대값 최소 840억에도 잇단 주문

'하늘의 집무실' 자가용 제트기 걸프스트림 G650ER(사진=블룸버그뉴스).
AD


[아시아경제 이진수 기자] 향후 10년 안에 중화권의 자가용 제트기 구입 건수가 현재의 세 배로 껑충 뛸 듯하다.

캐나다의 항공기 제조업체 봄바디어는 10년 안에 아시아 억만장자들의 부(富)가 미국 억만장자들의 부를 뛰어넘을 것으로 내다봤다. 항공기 제조업체인 미국의 걸프스트림 에어스페이스, 유럽의 에어버스 그룹, 봄바디어가 중화권 고객들 취향에 맞춰 지원 서비스를 강화한 것은 이 때문이다.


봄바디어가 최근 공개한 '2015~2024년 항공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 세계의 호화 자가용 제트기 가운데 적어도 15%는 중화권으로 인도될 듯하다.

항공 서비스 업체 싱가포르 테크놀로지스 에어스페이스의 앙체키앗 부사장은 최근 블룸버그통신과 가진 전화통화에서 "앞으로 아시아 시장이 급성장할 것"이라며 "중국의 민간 기업인이라면 자가용 제트기 한 대 사서 유지하는 데 별 무리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과거에는 주로 기업과 정부 기관이 비즈니스 제트기를 구매했다. 그러나 요즘 개인 억만장자들도 여기에 가세하고 있다.


'하늘의 집무실' 자가용 제트기 봄바디어의 '글로벌 5000'에 마련된 테이블 세트(사진=블룸버그뉴스).


자가용 제트기 한 대 값은 최소 7000만달러(약 840억7000만원)에 이른다. 여기에 주문형 인테리어, 외장 도색 비용까지 들어간다. 봄바디어에 따르면 2014년 말 현재 세계 전체를 통틀어 1만6000대의 자가용 제트기가 운항 중이다.


'하늘의 집무실' 자가용 제트기 걸프스트림의 G650ER의 내부 구조(사진=블룸버그뉴스).


글로벌 자산정보 제공업체 웰스X와 스위스 최대 투자은행 UBS의 '2014년 세계 억만장자 보고서'에 따르면 아시아의 자가용 제트기 소유주는 평균 순자산 규모가 11억달러다. 세계 평균은 5억2000만달러를 기록했다.
게다가 아시아의 자가용 제트기 소유주는 나이가 비교적 어리고 제트기 유지 비용으로 세계 평균보다 40%나 더 쓴다.


'하늘의 집무실' 자가용 제트기 걸프스트림의 G450에 설치된 좌석과 소파(사진=블룸버그뉴스).


오는 2024년까지 주문자에게 인도될 자가용 제트기는 9000대 정도다. 항공기 제조업체들에 2670억달러의 매출이 생기는 셈이다. 이 가운데 1540대가 아시아로 인도된다.


'하늘의 집무실' 자가용 제트기 봄바디어의 '글로벌 6000'에 마련된 황금색 싱크(사진=블룸버그뉴스).


자가용 제트기는 아시아의 주문자에게 인도되기 전 으레 대대적인 인테리어 개조 과정을 거친다. 뱅앤드올룹슨의 최고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천정에서 반짝반짝 빛나는 별들 같은 스와로브스키의 크리스털, 소유주 이름이 새겨진 실크 카펫으로 화려하게 재단장되는 것이다.


자동차ㆍ항공기 인테리어 디자인 컨설팅 업체 '디자인Q'의 하워드 가이 최고경영자(CEO)는 "아시아 고객들이 부티 나는 럭셔리 브랜드 인테리어 제품을 좋아한다"고 말했다.


아시아의 자가용 제트기 구매자는 대개 소매ㆍ부동산ㆍ카지노ㆍ원자재 부문에 몸담고 있다. 이들은 으레 봄바디어의 '글로벌 5000' 같은 항속거리가 긴 대형 제트기를 선호한다.


홍콩 소재 컨설팅 업체 젯솔루션 에이비에이션 그룹(國際商務航空顧問)의 후잉스(胡穎詩) 사장은 "중국인 바이어들의 경우 중국인답게 새빨간 혹은 오렌지색 카펫, 화려한 황금색 당초무늬를 좋아한다"고 들려줬다. 그러나 서양 브랜드ㆍ디자인에 좀 익숙한 중국인들은 중국식과 서양식이 혼합된 인테리어를 찾는다.


'하늘의 집무실' 자가용 제트기


자가용 제트기 내의 식기류ㆍ찻잔ㆍ스푼ㆍ쓰레기통, 심지어 세면 화장품은 명품업체 에르메스의 제품이다. 좌석은 샤넬 문양의 가죽으로 씌워져 있다. 인테리어 자재로는 펜디, 베르사체, 조르지오 아르마니 제품이 인기를 얻고 있다.


기내 설비의 손잡이를 금으로 도금해달라는 고객이 있는가 하면 마작 테이블, 번쩍번쩍하는 디스코 조명을 설치해달라고 요구하는 이도 있다. 풍수(風水) 전문가에게 기내 화장실이 침실과 마주하지 않도록 설계해달라고 의뢰하는 고객도 있다. 이는 화장실이 침실과 마주 보면 기(氣)가 나빠진다는 풍수설에 따른 것이다.


항공기 제조업계는 아시아 주식시장의 변동성, 원자재 가격 하락,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명품 소비 단속이 아시아 항공시장의 장기 전망에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본다.


'하늘의 집무실' 자가용 제트기


봄바디어에 따르면 항공기 제조업계가 2015~2024년 중화권으로 인도할 자가용 제트기는 875대다. 665대는 나머지 아시아 지역으로 향할 예정이다. 아시아가 북미와 유럽에 이어 3위를 차지하는 셈이다.


걸프스트림이 아시아에 판매한 자가용 제트기는 5년 사이 배로 늘어 지난해 289대를 기록했다. 아시아가 미국에 이어 제2의 걸프스트림 시장으로 떠오른 것이다.


이진수 기자 commun@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5.0807:00
    물막이설비, 침수 막는 안전장치인데…"집주인은 나몰라라"③
    물막이설비, 침수 막는 안전장치인데…"집주인은 나몰라라"③

    "집주인한테 물막이판(설비)을 해달라고 했지만 지금도 없습니다. 걱정이 많죠."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의 한 반지하 주택에서 살고 있다는 장모씨(45)는 지난달 15일 기자와 만나 이같이 말했다. 장씨의 집과 도로는 낮은 턱을 사이에 두고 경계가 갈라져 있다. 집의 현관문은 도로보다 한참 낮다. 물벼락 같은 국지성 호우에 금방 턱 위로 물이 차오를 텐데 올해는 어떻게 여름을 나야 할지 "막막하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장씨

  • 25.05.0807:00
    ④직접 찾아 안내해도 역부족…"침수 우려 높은 곳부터 소멸해야"
    ④직접 찾아 안내해도 역부족…"침수 우려 높은 곳부터 소멸해야"

    물막이 설비에 가장 큰 걸림돌인 집주인과 세입자의 인식 전환을 위해 서울시는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설득 작업을 하고 있다. 집주인의 재산권을 침해할 수 없으며, 반지하가 아니면 살 곳이 없는 서민들을 내쫓을 수도 없어 일일이 찾아다니고 있는 것이다. 이 밖에 세입자에게 바우처를 주거나 임대주택을 제공하거나 반지하를 매입하는 사업을 하고 있지만 한계가 있다. 전문가들은 반지하 침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지자체가

  • 25.05.0715:04
    습기에 눌리고 가난에 잠기는 '반지하 사람들'
    습기에 눌리고 가난에 잠기는 '반지하 사람들'

    "올해 여름에는 비가 많이 오지 않기를 기도할 뿐이에요." 지난달 17일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에서 만난 82세 박꽃님 할머니(가명)의 소원이었다. 2022년 8월 집중 호우가 쏟아진 후였다. 박 할머니처럼 반지하 방에 살던 한 이웃이 침수 피해로 세상을 떠나자 "이런 죽음은 피하고 싶다"고 생각했다. 이후 2년이 지났지만 그의 반지하 방 창에는 물막이가 없다. 그를 찾아와 안부를 묻는 구청 직원도 없었다. 그가 할 수 있는 것은

  • 25.05.0707:00
    서울에만 20만가구…일주일 벌이 2만~3만원 어쩔 수 없는 선택①
    서울에만 20만가구…일주일 벌이 2만~3만원 어쩔 수 없는 선택①

    "올해 여름에는 비가 많이 오지 않기를 기도할 뿐이에요." 지난달 17일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에서 만난 82세 박꽃님 할머니(가명)의 소원이었다. 2022년 8월 집중 호우가 쏟아진 후였다. 박 할머니처럼 반지하 방에 살던 한 이웃이 침수 피해로 세상을 떠나자 "이런 죽음은 피하고 싶다"고 생각했다. 이후 2년이 지났지만 그의 반지하 방 창에는 물막이가 없다. 그를 찾아와 안부를 묻는 구청 직원도 없었다. 그가 할 수 있는 것은

  • 25.05.0707:00
    ②"물막이설비도 없지만 저렴한 월세에…"
    ②"물막이설비도 없지만 저렴한 월세에…"

    "월세가 30만원이에요." 아시아경제가 지난달 14~18일 반지하 거주자 10명을 온·오프라인을 통해 만나 물어본 결과, 대부분의 반지하 거주자들은 반지하 거주의 이유로 저렴한 월세를 꼽았다. 하루 1만원 정도(서울시 관악구 신림동 기준)다. 그러나 하나같이 반지하에서의 삶을 추천하지 않았다. 주변 시선이나 습기, 공해가 문제가 아니었다. 국지성 호우가 생존의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이유로 꼽았다. 돈만 더 있다면 살기

  • 25.05.1107:00
    145% 美 관세에 中 '원산지 세탁업' 호황…동남아산으로 둔갑
    145% 美 관세에 中 '원산지 세탁업' 호황…동남아산으로 둔갑

    중국에서 최근 원산지를 세탁해 주는 불법 중개업체들이 역대급 호황을 맞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정부가 중국 제품에 부과한 관세가 총합 145%로 치솟으면서 중국 수출업체들이 이를 회피할 방법을 찾고 있기 때문이다. 외신들에 따르면 중국 SNS에서는 현재 제3국 경유 원산지 세탁 방식을 홍보하는 물류 중개업체들의 게시글과 영상이 급증하고 있다. 이들 광고는 말레이시아나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로 원산지를

  • 25.05.1008:30
    트럼프 '캐나다 합병' 농담인줄 알았는데…'이 여성' 폭탄선언에 긴장감 고조
    트럼프 '캐나다 합병' 농담인줄 알았는데…'이 여성' 폭탄선언에 긴장감 고조

    캐나다 서부 앨버타주가 캐나다 연방에서의 분리독립 가능성을 공식 언급하면서 북미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이후 지속적으로 캐나다 합병 발언을 이어가는 상황에서, 앨버타주의 이번 발표는 단순한 위협이 아닌 실현 가능한 시나리오로 부상하고 있다. 데니얼 스미스 앨버타 주총리는 지난 6일(현지시간) 캐나다 연방정부를 향해 강경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그는 "중앙정부가

  • 25.05.0307:30
    사상 첫 아시아 교황 기대감…세계 이목 집중된 '콘클라베'
    사상 첫 아시아 교황 기대감…세계 이목 집중된 '콘클라베'

    프란치스코 교황의 선종으로 새 교황의 선출과정인 콘클라베가 7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이번 콘클라베에서는 역사상 처음으로 아시아 출신 교황의 탄생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더욱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콘클라베(Conclave)는 교황 선출 선거권을 가진 80세 미만 추기경 135명이 바티칸 시스티나 성당에 모여 차기 교황을 선출하는 비밀 선거를 의미한다. 콘클라베라는 용어 자체가 '밖에서 문을 잠근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 25.04.2908:10
    총통 취임 1년도 채 안됐는데…탄핵 바람 부는 대만
    총통 취임 1년도 채 안됐는데…탄핵 바람 부는 대만

    대만 야권에서 라이칭더 총통에 대한 탄핵을 추진하면서 반정부 시위가 확산되고 있다. 대만의 정치 불안이 심화되는 가운데, 대만 제1야당인 국민당은 라이칭더 총통이 취임한 지 1년이 되는 오는 5월20일부터 탄핵을 추진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대만 총통 파면법에 따르면 탄핵은 최소 임기 1년이 지난 총통에게만 할 수 있어, 2023년 5월20일 취임한 라이 총통에 대한 탄핵은 다음 달 20일부터 가능하다. 현재 야당 주도로

  • 25.04.2207:20
    '1367억' 부동산 없어도 재산 1위 안철수, 강남 아파트 김동연·한동훈·홍준표[AK라디오]
    '1367억' 부동산 없어도 재산 1위 안철수, 강남 아파트 김동연·한동훈·홍준표[AK라디오]

    편집자주대선이 본격화했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한창 경선을 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5월 3일 후보를 결정하고, 민주당은 이르면 이달 27일 후보를 결정한다. 대선주자들의 다양한 면모를 알아보기 위해 ①대선주자와 종교 ②대선주자와 병역에 이어 ③대선주자와 재산에 대해 알아보았다.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가 대선주자들의 재산을 분석한 결과 대선 후보들의 재산은 대부분 아파트와 예금으로 구성돼 있었다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