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사이 '턱관절 장애' 환자 급증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턱에서 '딱딱' 소리가 난 적이 있으신지요. 처음에는 통증도 없이 찾아옵니다. 이를 방치하면 점점 통증이 심해지고 끝내는 음식을 씹을 수조차 없는 지경에 이릅니다.
턱은 얼굴의 심장이라고 불릴 정도로 중요한 기관입니다. 머리뼈와 턱뼈 사이에서 두 뼈를 연결하는 턱관절은 입을 벌리거나 다물게 하고 음식을 씹을 때 지렛목 기능을 합니다. 최근 턱관절 기능 이상을 호소하는 '턱관절 장애'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보면 2014년 턱관절 장애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10년 대비 약 38% 증가한 33만 8846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증상이 없어 턱관절 장애를 자각하지 못한 이들을 포함하면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턱관절 장애는 크게 관절원판(디스크)과 관절을 이루는 뼈 관절 구조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와 저작근을 포함한 주위 근육에 문제가 있는 경우로 나뉩니다. 이 둘은 서로 밀접한 연관이 있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입을 벌리면 턱에서 '딱!'하는 소리가 납니다. 턱을 움직이거나 턱 주변 근육을 만졌을 때 통증이 있다면 턱관절 장애를 의심해 봐야 합니다. 목이나 어깨 결림, 잦은 두통, 만성 피로, 소화 불량 등의 증상도 동반할 수 있습니다.
흔한 증상이라고 생각해 대수롭지 않게 여길 수 있는데 이를 방치하면 보다 심각한 질환으로 발전할 위험이 있습니다. 심한 경우 좌우 턱관절 균형이 무너져 얼굴이 한쪽으로 비틀어지는 안면비대칭이나 목뼈, 척추 등이 휘어 전신비대칭을 유발하는 경우도 보고된 바 있죠. 중·고등학생은 골격이 완성돼 가는 시기로 턱관절이 유연합니다. 염증에 대한 골 반응이 급속도로 변하기 때문에 치료받지 않을 경우 부정교합, 안면 비대칭으로 발전하기 쉬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턱관절 장애는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많이 발병합니다.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보면 2012년 턱관절 장애로 병원을 찾은 총 진료인원은 남성 11만5613명, 여성 17만6750명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이 남성보다 턱관절 장애 발병이 높은 이유로 여러 원인이 지적되고 있는데 전문가들은 스트레스를 주된 원인으로 판단합니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턱 근육에 분포돼 있는 신경이 수축되고 이에 따라 관절의 주의 조직이 약화되기 때문입니다.
김선종 이대목동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는 "여성은 남성에 비해 스트레스에 취약해 환자의 대부분이 여성이고 실제 2014년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여성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28.6%로 남성에 비해 4.2%나 높다"며 "우리 몸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저항할 힘과 에너지를 마련하기 위해 교감신경이 활성화되고 어깨, 목, 머리 등 주변 근육이 긴장하게 되면서 턱관절 장애가 발생하기 쉬워진다"고 설명했습니다.
김 교수는 "턱관절 장애를 조기에 진단할 경우 턱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으로도 치료가 가능하다"며 "초기에는 통증과 염증을 완화해주는 진통 소염제, 근육 이완제 등 약물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고 턱관절 장애가 더 진행돼 턱관절 내 디스크의 형태와 위치에 이상이 생겨 통증이 심한 경우 교합 안정장치(스플린트) 시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턱관절 장애 증상 체크 리스트
▲입을 벌리거나 닫을 때 지속적으로 귀 부위에서 소리가 난다.
▲입을 벌리거나 닫을 때와 식사할 때 통증이 지속된다.
▲검지, 중지, 약지를 나란히 붙인 다음 똑바로 세워 입에 넣었을 때 잘 들어가지 않는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