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상암DMC 개발로 마포구 종사자 5년새 25% 증가

시계아이콘02분 4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상암동 사업체수 2033개, 종사자수 3만1734명… 5년 새 종사자 25% 증가... 마포구의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서울서 2위

[아시아경제 박종일 기자] 상암DMC 개발로 MBC, SBS, KBS 등 공중파 방송사와 YTN, CJ E&M, TV조선, 채널A, JTBC 등 종편 채널들이 집주하면서 마포구 산업지도가 바뀌고 있다.


마포구(구청장 박홍섭)가 추진한 '2014년 기준 사업체 조사 결과' 마포구 전체 사업체 수는 3만5070개, 종사자수는 22만7966명으로 2009년 사업체 2만8052개, 종사자수 18만2339명에서 5년 새 종사자수가 25% 늘어나 눈길을 끈다.

특히 국내 최대 규모의 디자인·출판단지인 서교동 ‘홍대앞’과 최첨단 IT&미디어 단지인 상암DMC가 입지해 있는 지역적 특성에 걸맞게 마포구의 출판?영상 및 첨단IT&미디어 분야 종사자수는 2009년 2만1275명에서 2014년 3만4327명으로 61% 대폭 상승했다.


박홍섭 마포구청장은 “마포구는 상암DMC, 홍대앞을 비롯해 합정동, 공덕동 등 4대 거점지역에서 대규모 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다”며“마포구는 이 과정에서 주민들이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지역개발의 이익이 개발 주체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에게도 돌아갈 수 있도록 노력해 왔다”고 말했다.

◆마포구의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서울서 2위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은 서울시 전체 사업체수가 2만2663개, 종사자수 32만8519명이다.


자치구별로는 강남구(4471개)에 이어 마포구(2437개)로 마포구가 두 번째로 많았다.


이 업종은 마포구 전체 사업체 중 6.95%(2437개)에 불과하지만 종사자 현황으로는 19개 산업 중 가장 비중이 큰 15.06%(3만4327명)에 달해 고용창출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분석됐다.


연도별 추이를 보면 마포구의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사업체수는 2009년 1342개, 2만1275명에서 2014년 2437개, 3만4327명으로 늘어 5년새 사업체수와 종사자수에서 각각 81%, 61% 증가율을 기록했다.

상암DMC 개발로 마포구 종사자 5년새 25% 증가 박홍섭 마포구청장
AD


이 업종의 세부 산업현황으로는 ▲영상, 오디오기록물제작 및 배급업은 2009년 225개, 1968명에서 2014년 524개, 5202명으로 증가 ▲방송업은 2009년 17개, 515명에서 2014년 55개, 6481명으로 대폭 늘었다.


또 지상파 방송도 2009년 전무하던 것이 2014년에 2개로 늘었고 종사자는 1731명이 창출됐다.


▲컴퓨터프로그래밍, 시스템통합 및 관리업은 2009년 142개, 2943명에서 2014년 273개, 4270명으로 증가 ▲정보서비스업은 2009년 86개, 1305명에서 2014년 150개, 1895명이 됐다.


또 2009년 동별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을 보면 첨단 IT&미디어 산업단지로 육성 중인 상암동의 경우 사업체, 1131개(구성비 4.03), 종사자수 1만8364명(구성비 10.07)으로 상암동의 사업체수는 마포구 16개동 가운데 상위 5순위 안에 들지 못했다.


그러나 1993년 상암동 부지개발을 시작한 이래 MBC, SBS, KBS는 물론 YTN, CJ E&M, TV조선, 채널A, JTBC 등 종편 채널이 입주하는 등 첨단 IT & 미디어산업단지로 변모하면서 사업체수가 상위 4위에 올랐고(종사자수는 2위), 특히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증가가 두드러졌다.


상암동의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사업체수는 334개(상암동 전체 2033개의 16%)로, 종사자 2명 중 1명(50.72%, 1만6095명 총3만1734명)이 이 분야에서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포구서 가장 핫한 상권‘서교동’, 음식?숙박?출판에 ‘특화’


2014년 마포구 산업별 사업체의 20.62%(7232개)를 차지하는‘숙박 및 음식점업’의 경우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 모두‘홍대앞’으로 통칭되는 ‘서교동’이 가장 많았다. 서교동은 전체 업체수 9033개, 5만4723명 가운데 숙박 및 음식점업이 20.36%(2562개, 1만1143명)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젊음과 개성의 거리인 서교동은 숙박 및 음식점업 외에도 국내 최대 규모의 출판?인쇄 인프라를 갖춘 곳으로 상암동과 함께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이 2009년 480개, 5012명에서 2014년 849개, 7294명으로 늘고 있는 추세다.


이 지역의 경우 지난해 12월 마포 디자인·출판 지구에 서울시 내 특정개발진흥지구 중 최초로 지구단위계획이 수립돼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통과함으로써 서교동 일대의 관련 업종에 대한 각종 규제 완화가 이뤄질 예정이어서 관련 산업활동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마포구 전체로는‘숙박 및 음식점업’사업체 및 종사자가 2009년에는 5287개, 1만7787명이던 것이 2014년에는 7232개, 2만6177명으로 증가했다. 세분 업종인‘음식점 및 주점업은 2009년 5085개, 1만6885명에서 6937개, 종사자수 2만5225명으로 늘었다.


그 밖에 ▲산업별 종사자 1순위 추이를 연도별로 보면 ▲2009년 도소매업(2만6124명)에서 ▲2010년 사업시설관리업(2만7948명) ▲2011년 도소매업(2만7466명) ▲2012년 도소매업(2만8452명) ▲2013년 출판영상정보(3민167명) ▲2014년 출판영상정보 3만4327명 순으로 조사됐다.


증가율이 높은 상위 5개 산업은 2009년 대비 사업체의 수의 경우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 ▲숙박 및 음식점업 ▲도매 및 소매업이고 종사자수의 경우▲출판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숙박 및 음식점업, 사업시설관리업▲ 도매 및 소매업이다.


반대로 감소산업은 운수업, 제조업, 금융?보험업이 포함됐다.


◆마포구, 4대 성장거점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추진


마포구는 지역의 4대 성장 거점인 상암, 홍대, 합정, 공덕 거점에 역량을 집중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전략에 따라 거점별 일자리 창출에 총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상암DMC 권역에는 고용노둥부 주관 ‘지역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에 선정돼 2014년부터 기업에 맞는 인재 양성을 위해 관련업체가 교육생 선발부터 채용까지 참여하는 상암 DMC IT미디어 맞춤인력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 서교, 합정, 상수동 등 홍대앞 일대에 디자인 출판업체가 집중돼 있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전자출판 전문가 양성과정’과 4대 성장거점을 중심으로 직업상담사를 배치, 일자리 상담창구 운영하는 등 지역밀착형 취업지원서비스 제공하고 있다.


또 마포구가 실시한 ‘2015년 마포구사회조사’에 따르면 구직자의 대부분이 ‘조건이 맞지 않아서’(23.7%) 구직에 실패하며, 일자리를 갖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기술 및 자격증 등 취업관련 교육지원’(33.6%)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홍섭 마포구청장은 “일자리 창출은 마포구의 역점사업 가운데 하나로 각종 일자리 관련 통계조사를 면밀히 분석, 지역적 특성과 산업별 특성을 일자리 정책 수립에 반영, 기술 및 자격증 프로그램 운영 등 취업지원 교육을 운영함으로써 마포구민의 취?창업률 제고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종일 기자 dre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4.2207:20
    '1367억' 부동산 없어도 재산 1위 안철수, 강남 아파트 김동연·한동훈·홍준표[AK라디오]
    '1367억' 부동산 없어도 재산 1위 안철수, 강남 아파트 김동연·한동훈·홍준표[AK라디오]

    편집자주대선이 본격화했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한창 경선을 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5월 3일 후보를 결정하고, 민주당은 이르면 이달 27일 후보를 결정한다. 대선주자들의 다양한 면모를 알아보기 위해 ①대선주자와 종교 ②대선주자와 병역에 이어 ③대선주자와 재산에 대해 알아보았다.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가 대선주자들의 재산을 분석한 결과 대선 후보들의 재산은 대부분 아파트와 예금으로 구성돼 있었다

  • 25.04.2107:20
    유종일 "이재명 '성장 전략 짜 달라' 전화"
    유종일 "이재명 '성장 전략 짜 달라' 전화"

    유종일 '성장과 통합' 상임공동대표가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했다. 지난 18일 오전 9시 서울 중구 충무로 아시아경제 스튜디오에서 1시간20분 동안 진행된 인터뷰에서 유 대표는 "시장 원리를 거스르면 목표 달성도 못 하고 부작용만 커진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비판하며 "원자력은 꼭 필요하다. 가급적 빨리 신규 원전을 건설해야 한다"고 소신을 밝혔다. 또 "연공서열제를 개혁해야 정년

  • 25.04.1807:39
    양기대 "통합 필요한 세력 진정성 있게 껴안아야"
    양기대 "통합 필요한 세력 진정성 있게 껴안아야"

    민주당 비명(비이재명)계 전직 의원들의 모임인 '초일회' 간사인 양기대 전 국회의원이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했다. '희망과 대안 포럼' 이사장이기도 한 양 전 의원은 "정권 교체가 중요하다"며 "제3세력 태동 가능성은 사그라들었다"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누가 정권을 잡든 대선 이후 경제적 불평등 등에 대한 깊은 통합의 정신을 발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터뷰는 17일 오전 9시부터 10시까지 서울 중

  • 25.04.1308:00
    테슬라 폭락에 백악관 나간다는 머스크…트럼프와 멀어지나
    테슬라 폭락에 백악관 나간다는 머스크…트럼프와 멀어지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사이에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정부효율부 수장인 일론 머스크가 조만간 정부를 떠날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언급한 내용으로, 지난 4일 기자회견에서 "머스크도 떠날 시점이 올 것이다. 아마 몇 달 후가 될 것 같다"라고 발언하면서 머스크의 조기 사임론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머스크가 이탈리아 극

  • 25.04.1207:00
    드론 격추하기 시작한 북한군…수세로 몰린 우크라
    드론 격추하기 시작한 북한군…수세로 몰린 우크라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이 초기 고전에도 불구하고 현대전 전술에 빠르게 적응하며 전세를 역전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크라이나가 점령했던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북한군을 앞세운 러시아군의 반격으로 우크라이나군이 후퇴를 거듭하면서 자국 국경 방어에 나서야 하는 상황으로 전환됐다. 초기에는 무인기(드론) 전술에 적응하지 못해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했던 북한군이 짧은기간 내에 드론 대응 전술을 익

  • 25.04.1706:10
    정갑영 전 총장 "갈등 풀려면 경제 성장해야…해법은 교육"
    정갑영 전 총장 "갈등 풀려면 경제 성장해야…해법은 교육"

    편집자주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 공동체의 분열에 제동을 걸었다.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정은 변화의 마중물이다. 고난과 역경 앞에서 좌절하지 않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회복력은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제는 혐오와 반목의 그림자를 걷어내고, 미래를 준비해야 할 때다. 60일도 남지 않은 제21대 대통령선거는 중요한 시험대다. 다시 갈등과 혼돈의 늪에서 헤맬 수는 없는 노릇이다. 우리 사회의 상처를 치유하고,

  • 25.04.1610:10
    김형오 "개헌으로 제왕적 대통령제 결별해야"
    김형오 "개헌으로 제왕적 대통령제 결별해야"

    편집자주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 공동체의 분열에 제동을 걸었다.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정은 변화의 마중물이다. 고난과 역경 앞에서 좌절하지 않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회복력은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제는 혐오와 반목의 그림자를 걷어내고, 미래를 준비해야 할 때다. 60일도 남지 않은 제21대 대통령선거는 중요한 시험대다. 다시 갈등과 혼돈의 늪에서 헤맬 수는 없는 노릇이다. 우리 사회의 상처를 치유하고,

  • 25.04.1010:00
    손봉호 “헌재 결정에 승복 안하면 자해행위”
    손봉호 “헌재 결정에 승복 안하면 자해행위”

    편집자주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 공동체의 분열에 제동을 걸었다.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정은 변화의 마중물이다. 고난과 역경 앞에서 좌절하지 않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회복력은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제는 혐오와 반목의 그림자를 걷어내고, 미래를 준비해야 할 때다. 60일도 남지 않은 제21대 대통령선거는 중요한 시험대다. 다시 갈등과 혼돈의 늪에서 헤맬 수는 없는 노릇이다. 우리 사회의 상처를 치유하고,

  • 25.04.0911:19
    정세균 "국민통합 안 되는 원인은 정치…갈등 조장 세력 단절해야"
    정세균 "국민통합 안 되는 원인은 정치…갈등 조장 세력 단절해야"

    편집자주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 공동체의 분열에 제동을 걸었다.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정은 변화의 마중물이다. 고난과 역경 앞에서 좌절하지 않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회복력은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제는 혐오와 반목의 그림자를 걷어내고, 미래를 준비해야 할 때다. 60일도 남지 않은 제21대 대통령선거는 중요한 시험대다. 다시 갈등과 혼돈의 늪에서 헤맬 수는 없는 노릇이다. 우리 사회의 상처를 치유하고,

  • 25.04.0811:41
    양극단으로 쪼개진 사회…회복과 통합, 그 해법은
    양극단으로 쪼개진 사회…회복과 통합, 그 해법은

    "신뢰가 없으면 공동체 구성원 간에 믿음이 없으니, 나라가 바로 설 수 없다." 정치 원로인 문희상 전 국회의장은 8일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춘추시대 유학자인 공자(公子)가 남긴 말을 전했다. 지난겨울 비상계엄의 충격파 속에 혼돈에 휩싸여 있던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관한 얘기다. 문 전 의장은 "공자 말씀이 ‘정치가 무엇이냐’를 물으면 군사(국방, 안보)와 식량(경제), 믿음(공동체) 3가지를 말했다"면

  • 25.04.2207:20
    '1367억' 부동산 없어도 재산 1위 안철수, 강남 아파트 김동연·한동훈·홍준표[AK라디오]
    '1367억' 부동산 없어도 재산 1위 안철수, 강남 아파트 김동연·한동훈·홍준표[AK라디오]

    편집자주대선이 본격화했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한창 경선을 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5월 3일 후보를 결정하고, 민주당은 이르면 이달 27일 후보를 결정한다. 대선주자들의 다양한 면모를 알아보기 위해 ①대선주자와 종교 ②대선주자와 병역에 이어 ③대선주자와 재산에 대해 알아보았다.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가 대선주자들의 재산을 분석한 결과 대선 후보들의 재산은 대부분 아파트와 예금으로 구성돼 있었다

  • 25.04.2107:20
    유종일 "이재명 '성장 전략 짜 달라' 전화"
    유종일 "이재명 '성장 전략 짜 달라' 전화"

    유종일 '성장과 통합' 상임공동대표가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했다. 지난 18일 오전 9시 서울 중구 충무로 아시아경제 스튜디오에서 1시간20분 동안 진행된 인터뷰에서 유 대표는 "시장 원리를 거스르면 목표 달성도 못 하고 부작용만 커진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비판하며 "원자력은 꼭 필요하다. 가급적 빨리 신규 원전을 건설해야 한다"고 소신을 밝혔다. 또 "연공서열제를 개혁해야 정년

  • 25.04.1807:39
    양기대 "통합 필요한 세력 진정성 있게 껴안아야"
    양기대 "통합 필요한 세력 진정성 있게 껴안아야"

    민주당 비명(비이재명)계 전직 의원들의 모임인 '초일회' 간사인 양기대 전 국회의원이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했다. '희망과 대안 포럼' 이사장이기도 한 양 전 의원은 "정권 교체가 중요하다"며 "제3세력 태동 가능성은 사그라들었다"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누가 정권을 잡든 대선 이후 경제적 불평등 등에 대한 깊은 통합의 정신을 발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터뷰는 17일 오전 9시부터 10시까지 서울 중

  • 25.04.1308:00
    테슬라 폭락에 백악관 나간다는 머스크…트럼프와 멀어지나
    테슬라 폭락에 백악관 나간다는 머스크…트럼프와 멀어지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사이에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정부효율부 수장인 일론 머스크가 조만간 정부를 떠날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언급한 내용으로, 지난 4일 기자회견에서 "머스크도 떠날 시점이 올 것이다. 아마 몇 달 후가 될 것 같다"라고 발언하면서 머스크의 조기 사임론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머스크가 이탈리아 극

  • 25.04.1207:00
    드론 격추하기 시작한 북한군…수세로 몰린 우크라
    드론 격추하기 시작한 북한군…수세로 몰린 우크라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이 초기 고전에도 불구하고 현대전 전술에 빠르게 적응하며 전세를 역전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크라이나가 점령했던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북한군을 앞세운 러시아군의 반격으로 우크라이나군이 후퇴를 거듭하면서 자국 국경 방어에 나서야 하는 상황으로 전환됐다. 초기에는 무인기(드론) 전술에 적응하지 못해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했던 북한군이 짧은기간 내에 드론 대응 전술을 익

  • 25.04.1706:10
    정갑영 전 총장 "갈등 풀려면 경제 성장해야…해법은 교육"
    정갑영 전 총장 "갈등 풀려면 경제 성장해야…해법은 교육"

    편집자주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 공동체의 분열에 제동을 걸었다.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정은 변화의 마중물이다. 고난과 역경 앞에서 좌절하지 않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회복력은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제는 혐오와 반목의 그림자를 걷어내고, 미래를 준비해야 할 때다. 60일도 남지 않은 제21대 대통령선거는 중요한 시험대다. 다시 갈등과 혼돈의 늪에서 헤맬 수는 없는 노릇이다. 우리 사회의 상처를 치유하고,

  • 25.04.1610:10
    김형오 "개헌으로 제왕적 대통령제 결별해야"
    김형오 "개헌으로 제왕적 대통령제 결별해야"

    편집자주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 공동체의 분열에 제동을 걸었다.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정은 변화의 마중물이다. 고난과 역경 앞에서 좌절하지 않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회복력은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제는 혐오와 반목의 그림자를 걷어내고, 미래를 준비해야 할 때다. 60일도 남지 않은 제21대 대통령선거는 중요한 시험대다. 다시 갈등과 혼돈의 늪에서 헤맬 수는 없는 노릇이다. 우리 사회의 상처를 치유하고,

  • 25.04.1010:00
    손봉호 “헌재 결정에 승복 안하면 자해행위”
    손봉호 “헌재 결정에 승복 안하면 자해행위”

    편집자주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 공동체의 분열에 제동을 걸었다.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정은 변화의 마중물이다. 고난과 역경 앞에서 좌절하지 않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회복력은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제는 혐오와 반목의 그림자를 걷어내고, 미래를 준비해야 할 때다. 60일도 남지 않은 제21대 대통령선거는 중요한 시험대다. 다시 갈등과 혼돈의 늪에서 헤맬 수는 없는 노릇이다. 우리 사회의 상처를 치유하고,

  • 25.04.0911:19
    정세균 "국민통합 안 되는 원인은 정치…갈등 조장 세력 단절해야"
    정세균 "국민통합 안 되는 원인은 정치…갈등 조장 세력 단절해야"

    편집자주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 공동체의 분열에 제동을 걸었다.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정은 변화의 마중물이다. 고난과 역경 앞에서 좌절하지 않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회복력은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제는 혐오와 반목의 그림자를 걷어내고, 미래를 준비해야 할 때다. 60일도 남지 않은 제21대 대통령선거는 중요한 시험대다. 다시 갈등과 혼돈의 늪에서 헤맬 수는 없는 노릇이다. 우리 사회의 상처를 치유하고,

  • 25.04.0811:41
    양극단으로 쪼개진 사회…회복과 통합, 그 해법은
    양극단으로 쪼개진 사회…회복과 통합, 그 해법은

    "신뢰가 없으면 공동체 구성원 간에 믿음이 없으니, 나라가 바로 설 수 없다." 정치 원로인 문희상 전 국회의장은 8일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춘추시대 유학자인 공자(公子)가 남긴 말을 전했다. 지난겨울 비상계엄의 충격파 속에 혼돈에 휩싸여 있던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관한 얘기다. 문 전 의장은 "공자 말씀이 ‘정치가 무엇이냐’를 물으면 군사(국방, 안보)와 식량(경제), 믿음(공동체) 3가지를 말했다"면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