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구렁이 담 넘어가는' 모습, 보기 힘들어진 까닭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곡식 훔쳐먹는 집쥐·병 옮기는 등줄쥐 포식자
70년대 보신문화로 개체수 급감하며 멸종위기
구렁이처럼 천천히, 여유롭게 사는 지혜 필요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뱀 가운데 사람과 가장 친숙한 종이 바로 구렁이다. 어른 키를 훌쩍 넘는 길이, 커다란 덩치와 달리 성격이 비교적 온순하고 우리 생활에도 퍽 유익한 동물이기 때문이다.

60~70년대까지만 해도 구렁이가 농가 근처 야트막한 바위 위에, 혹은 초가집 돌담에 널브러져 햇볕을 쬐고 있는 모습은 그리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었다고 한다.


2013년 계사년을 맞아 국내 최고의 뱀 전문가 심재한 한국양서·파충류 생태복원연구소장으로부터 구렁이의 생태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구렁이 담 넘어가는' 모습, 보기 힘들어진 까닭은? ▲ 황구렁이(사진 제공: 심재한 소장)
AD


구렁이는 보통 몸길이가 1.1~2m로 국내에 서식하는 뱀 중에 가장 크다. 보통 황갈색, 또는 검은색을 띠며 몸 전체에 걸쳐 비스듬한 밝은 색의 띠무늬를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구렁이는 재물이나 집을 지킨다는 '지킴이', 또는 '텃구렁이'와 같은 긍정적인 존재로 여겨져 왔다.


심 소장은 "곡식을 축내는 집쥐나 병균을 옮기는 등줄쥐 등을 대단히 많이 잡아먹는 동물이다 보니 사람들은 구렁이가 집안에 들어오면 해치거나 괴롭히지 않고 재산을 지켜주는 재신(財神)으로 여겼다"고 설명한다.


몸 길이 1m가 넘는 구렁이는 해마다 4~11월 활동 기간에만 무려 100마리가 넘는 쥐를 잡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렁이는 쥐를 잡을 때 서서히 뒤따라가다 먹이가 코 끝에 닿을 정도까지 접근하게 되면 목을 S자형으로 굽혀 눈깜짝할 새에 입으로 물고 몸통으로 말아 버린다. 빠져나가려 발버둥치던 쥐가 질식해 죽고 난 뒤에야 칭칭 말고 있던 몸을 풀고 통째로 삼켜 서서히 소화시킨다. 구렁이는 자기 머리보다 4배 가량 큰 먹이도 삼킬 수 있다.


구렁이는 제주도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서 발견됐지만 70년대 이후 시골 초가집과 같은 주요 서식처가 하나둘 사라지고 그릇된 보신문화로 인해 마구잡이식 포획이 이뤄지면서 그 수가 급감했다. 최근엔 사람의 출입이 거의 없는 비무장지대와 섬 지역 일부에 남아 있는 정도다.


이 때문에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돼 있어 불법 포획할 경우 최대 5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구렁이의 종 보존을 위해 전문 연구소나 유전자은행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심 소장은 "뱀이 사라지면 쥐가 마구 늘어나 농작물을 뿌리째 먹어버리거나 병원성 세균인 유행성 출혈열을 옮기게 된다"며 "인위적으로 자연생태계의 평형이 깨지면 그 대가를 인간이 받아야 하는 만큼 구렁이와 공존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구렁이 담 넘어가듯'이라는 속담도 있지만 구렁이는 느리더라도 꾸준히 목표를 향해 나아간다"며 "2013년에는 모두가 천천히 여유롭게 세상을 바라보고 주변을 돌아보면서 살아가는 한해가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조인경 기자 ikj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