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하반기 경제 변수로 떠오른 '환율 급락'

온 나라의 시선이 세월호 참사에 쏠린 사이 원ㆍ달러 환율이 급락하면서 우리 경제의 핵심 변수로 떠올랐다. 지난 3월 1080원대였던 환율은 두 달 새 60원 급락해 1020원대를 맴돌고 있다. 당국의 직간접 개입에도 환율 하락세는 멈추지 않는다. 누적된 경상수지 흑자로 시장에 달러공급 물량이 많은 데다 외국인의 주식매수와 글로벌 달러약세 등 대내외적 요인도 원화강세를 부추기기 때문이다.  우려했던 환율하락에 따른 영향은 벌써 나타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수출 중소기업 1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1%가 채산성이 악화될 것으로 응답했다. 이들 기업이 예상하는 손익분기점 환율은 1038원. 현재 환율이 1020원대이고, 이미 낮아진 환율은 3~6개월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친다.  하반기 상황도 좋지 않다. 오는 10~11월 양적완화 정책을 중단하는 미국이 달러화가 강세로 돌아서 경상수지 적자가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다른 나라에 통화절상 압력을 가할 수 있어서다. 미국은 지난해 10월 재무부 환율보고서에서 한국을 주요 경상수지 흑자국 중 하나로 지목했다. 원화가 2~8% 저평가돼 있고, 외환보유액이 과다하며, 정부의 외환시장 개입이 자제돼야 한다고 적었다.  환율하락의 여파가 하반기에 본격화하면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상당한 타격을 줄 것이다. 올해 평균환율이 1000원이면 경제성장률은 3.3%로 내려가리란 전망도 나와 있다. 정부(3.9%)ㆍ한국은행(4.0%)의 성장률 전망에 한참 못 미친다. 대기업들은 나름 헤쳐 나가지만 환리스크 대응 능력이 약한 중소 수출업체들이 걱정이다. 정부는 중소업체에 대한 무역금융ㆍ보증지원 확대 등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외환업무 경험이 있는 퇴직자들을 지원하는 것도 필요하다.  환율하락이 나쁜 것만은 아니다. 수입물가 하락을 가져와 국내 물가를 안정시키고 소비를 촉진시키는 효과도 기대된다. 하지만 국내 소비는 세월호 참사 이후 급랭한 상태다. 현오석 경제팀이 중심을 잡고 잘해야 할 텐데 총리를 비롯한 개각이 예고된 상태다. 경제팀도 바뀌리란 관측이 나온다. 자리가 불안정한 경제관료들이 제대로 움직일까. 청와대는 선거 등 정치일정에 관계없이 경제팀 경질 여부를 빨리 결정해야 할 것이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