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은 바다와 접해 있는 지리적인 영역을 의미하며, 주요 국가기반시설 및 산업시설, 그리고 많은 인구가 집중돼 있어 국가정책 및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하지만 최근 연안지역에서의 산업활동 증가로 인한 연안환경의 파괴와 지구환경변화에 따른 해양기인성 재해의 증가는 연안지역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위협요소 중 대표적인 것이 연안침식이다. 과거 우리나라 연안지역은 심각한 수준의 침식이 발생하지 않는 안정된 해안이었다. 그러나 해안인프라 시설 건설, 댐ㆍ보 축조 및 하천 사방공사에 의한 육상토사 공급량 감소와 연안 모래채취 등 인위적 원인에 의한 연안침식이 1980년대 후반부터 발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 너울성 고파랑, 태풍 내습빈도 및 강도가 2000년 이후 증가함에 따라 연안침식의 심각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연안침식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국가모니터링 사업'을 통해 해안별 침식등급을 매년 조사하고 있다. 2011년에는 조사대상인 161개소의 해안 중 64%인 104개소가 침식 우려ㆍ심각 등급으로 나타난 바 있다. 또한 최근 기후변화정부간위원회(IPCC) 5차 보고서 작성을 위한 국제 공동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반도 해수면 최대 상승치는 2100년까지 약 73㎝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보면 국토면적의 4.1%(4149㎢)가 침수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연안침식 문제 대응을 위해 우리보다 먼저 이러한 연안침식 문제를 경험했던 국가들의 사례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대표적 국가인 네덜란드는 인구 60%인 800만명이 평균해수면 이하 저지대에 거주하는 지리적 조건으로 인해 연안관리정책 개발 및 관련연구를 선도적으로 진행해 해안방호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다. 네덜란드 외에도 미국, 일본 등 연안침식을 겪고 있는 주요 선진국들의 경우에는 연안침식의 발생과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예측기술 개발, 그리고 침식문제 대응을 위한 정부의 꾸준한 지원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연안침식에 대한 이해 및 대응을 위한 다양한 선진기술과 공법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연안침식 대응을 위해 현재까지도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수행 중에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연안관리법'에 의거, 2000년부터 '연안정비계획'을 통해 연안침식 대응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침식관리 경험부족과 통합관리체계 미흡, 전문가 및 관련연구 부족, 그리고 설계ㆍ시공기술 및 경험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예를 들면 서해안의 꽃지해수욕장에서는 해안침식을 막기 위한 축대벽 및 해안도로를 설치했지만 인공구조물은 사구와 백사장 사이의 모래 순환을 방해해 오히려 해안 침식을 가중시켰다. 충분한 과학적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은 결과였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는 2011년부터 '연안침식 모니터링 및 예측시스템 개발연구'를 통해 연안침식 대응을 위한 연구개발에 착수했으며, 이 연구를 기반으로 국토해양부는 2013년부터 10년간 본격적인 연안침식 대응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에 72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연안에 대한 과학적인 통합관리 및 대응기술 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연안은 수많은 국민들의 삶의 터전이자 소중한 국토다. 늦기 전에 연안침식에 대한 과학적인 대응방안을 도출함으로써 연안환경의 파괴를 방지해야 한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시작되는 해양수산부 시대, 연안침식에 대한 지속적인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을 통해 산ㆍ학ㆍ연ㆍ관이 합심함으로써 국토보존의 의무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심재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특성화연구본부장<ⓒ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