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주지사, 정몽구 회장과 협력강화방안 논의

상호 협조 피력

한국을 공식 방문 중인 네이슨 딜 조지아주지사가 17일 현대·기아차 본사를 방문, 정몽구 회장을 만나 상호 협력을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사진 좌측)과 네이슨 딜 조지아 주지사가 현대·기아차 본사사옥 로비에서 악수를 하고 있는 모습.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한국을 공식 방문 중인 네이선 딜 조지아 주지사가 현대·기아자동차 본사를 방문, 정몽구 회장을 만나 상호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네이슨 딜 주지사는 지난 15일 미국 조지아주에 진출한 한국기업과의 유대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우리나라를 찾았으며, 17일 현대?기아차를 방문했다.이날 네이슨 딜 주지사는 정몽구 현대·기아차 회장의 환대를 받으며 본사 양재사옥을 방문, 본사 접견실에서 면담을 가졌다. 딜 주지사는 면담에 앞서 방명록에 ‘현대?기아차의 아름다운 사옥을 방문하게 돼 영광이며, 조지아주에 공장을 세워주신 데 감사한다(I'm honored to visit your beautiful building and to express my appreciation for your plant in the State of Georgia)’라고 적었다. 딜 주지사의 현대?기아차 방문은 지난 6월 정몽구 회장이 조지아주지사 공관을 찾은 자리에서 방한을 요청한 데 따른 것이다.이날 정 회장은 "기아차 조지아 공장이 높은 생산성을 기록하며 연산 30만대 체제에서 최근 36만대 체제로 늘릴 수 있었던 것은 주정부 및 주지사의 적극적인 협조와 관심으로 가능했다"며 "앞으로도 생산 물량 증대에 따른 적극적인 협조와 관심을 부탁 드린다"고 말했다.이에 딜 주지사는 "기아차는 조지아주에 위치한 외국 기업 중 가장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기업 중 하나"라며 "기아차가 공장 규모를 늘릴 수 있었던 것은 쏘렌토R과 K5(현지명 옵티마)와 같은 모델을 투입해 소비자들의 큰 인기를 이끌어 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이어 "기아차가 미국 시장에서 성공신화를 계속 이어갈 수 있도록 주정부도 적극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다.기아차는 최근 K5의 미국 현지생산을 위해 조지아공장에 1억달러를 투자했으며 3교대제로 근무형태를 변경, 내년부터 연간 생산능력을 36만대로 확대할 계획이다.2009년까지 기아차는 미국시장에 30만63대를 판매해 시장점율 2.9%에 머물렀지만 조지아공장이 가동에 들어간 지난해에는 전년대비 18.7% 증가한 35만6268대를 판매했다. 시장점유율도 3.1%로 0.2%p 증가했다.올해도 지난 9월까지 36만7405대를 판매해 이미 지난해 판매치를 넘어섰으며 시장점유율은 3.9%를 기록했다.조지아주 정부도 각종 혜택과 다양한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2008년 3월 기아차 조지아공장 주변에 약 6600㎡(약1966평) 규모의 '기아 조지아 트레이닝센터'를 건립해 기아차에 선물했다. 이 곳에는 각종 강의실, 다목적 홀이 갖춰진 것은 물론 내부에 조립라인을 그대로 축소한 작업환경을 구현해 교육생의 조기 작업숙달을 도울 수 있도록 했다. 또 조지아 주정부는 공장주변 고속도로에서 공장으로 연결되는 새로운 인터체인지를 개통시켰을 뿐만 아니라 공장 정문 앞을 통과하는 '기아 파크웨이', 트레이닝센터로 연결되는 '기아 블러버드'도 열어줬다.이외에 미국 철도운영업체인 CSX는 조지아공장 내부로 유입되는 철도를 새로 깔아 물류 편의성을 한층 높였다.네이슨 딜 조지아 주지사는 정몽구 회장과의 면담을 마친 뒤 현대·기아차 남양연구소와 현대제철을 찾았다. 현대·기아차 남양연구소를 찾은 네이슨 딜 주지사는 모하비 수소연료전지차와 K5 하이브리드를 비롯해 올 연말 출시 예정인 TAM(프로젝트명) 전기차를 시승했다. 현대제철에서는 현장을 시찰하며 최첨단 친환경 기술 설비들을 둘러봤다.현대제철은 세계 최초의 ‘밀폐형 원료처리 시스템’을 갖춘 친환경 제철소다.최일권 기자 igchoi@<ⓒ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최일권 기자 igchoi@ⓒ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