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단독/2021 무연고사 리포트]10만명당 무연고 사망자 4.15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1>전국 무연고사 지도

229개 지자체 최근 5년 무연고 통계 전수조사
사망자 수는 경기 2140명 최다지만
무연고사 지수는 제주 6.76가장 높아

무연고사 지수 상위 20위엔
부산 4곳·대구 2곳·충북2곳 등
전국 고르게 분포돼

[단독/2021 무연고사 리포트]10만명당 무연고 사망자 4.15명 아시아경제가 전국 229개 기초자치단체를 전수조사해 '무연고사 지수'를 분석한 지도
AD


사회취약계층의 얘기로만 치부되던 무연고 사망은 더 이상 그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가족과 지역 공동체의 해체로 개인화가 가속화하는 사회 속에서 무연고 사망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미 심각한 사회 문제가 돼버린 무연고 사망. 망자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한 장례절차도 마땅한 기준 없이 각 기초자치단체의 재량에만 맡겨져 있다. 아시아경제는 쓸쓸한 죽음을 맞을 수밖에 없었던 이들의 삶의 궤적을 추적하고, 전국 229개 기초자치단체의 무연고 사망자 발생 추이를 전국 언론사 최초로 집계해 통계화했다. 이를 통해 무연고 사망자들에 대한 명확한 기준조차 마련되지 않은 현실을 분석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대안책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편집자주


[아시아경제 특별취재팀=고형광 팀장, 유병돈 기자, 정동훈 기자, 이정윤 기자] 아시아경제의 전수조사 결과 전국 평균 무연고 지수는 4.15로 나타났다. 무연고 지수는 해당 지역의 1년 평균 무연고 사망자 발생건수와 2020년 인구를 토대로 10만명당 무연고 사망자 수를 계산한 수치다. 이렇게 산출된 무연고 지수가 10을 초과하는 지역을 고위험군, 5를 초과하는 지역을 위험군으로 분류했다. 절대적인 무연고 사망자 수만을 바탕으로 해당 지역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에 비해 객관적인 평가를 하기 위해서 이 같은 수치를 도입했다.


무연고 사망자 수와 무연고 지수를 직접 비교하거나 연관관계를 찾기는 어렵다. 광역자치단체별 무연고 사망자 수만을 살펴보면 경기도가 2140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 2022명, 부산 1042명, 인천 967명 순이었다. 반면, 무연고 지수는 제주가 6.76으로 가장 높았으며 인천 6.57, 부산 6.14, 강원 6.09, 서울 5.19 등이 뒤를 이었다. 기초자치단체별로 살펴봐도 마찬가지였다. 무연고 사망자 수는 서울 영등포구가 350명, 서울 동대문구가 227명, 경기 고양시가 211명, 서울 중구와 인천 미추홀구가 194명 순으로 많았으나, 무연고 지수는 서울 중구가 30.99, 부산 서구가 29.6, 부산 중구가 21.67, 전남 신안군이 19.51, 인천 옹진군이 18.5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단독/2021 무연고사 리포트]10만명당 무연고 사망자 4.15명 서울은 중구, 영등포, 용산, 종로 등에서 무연고사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전국 229개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무연고 사망자 수가 가장 높은 20곳 중 15곳이 서울과 경기도, 인천 등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것에 반해 무연고 지수는 서울은 5곳(중구·영등포구·용산구·종로구·동대문구), 인천은 3곳(옹진군·중구·동구)만이 상위 20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외 지역은 부산 4곳(서구·중구·영도구·사상구), 대구 2곳(서구·남구) 충북 2곳(보은군·괴산군), 경북 2곳(청송군·청도군), 강원 1곳(속초시), 전남 1곳(신안시) 등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인구가 밀집한 수도권에서 비교적 많은 무연고 사망자가 발생하면서 이들 지역만의 문제로 치부되던 것과는 대조적인 결과다.


전체적인 무연고 지수를 살펴봤을 때 우리나라의 무연고 사망자 발생 위험도는 굉장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29개 지자체 가운데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곳은 22곳, 위험군으로 분류된 곳은 54곳으로 전체의 3분의 1가량이 위험군 이상으로 분류됐다. 인구 10만명당 무연고 사망자 수가 10명을 넘어선 고위험군 지자체는 앞서 언급한 서울 5곳과 부산 4곳, 인천 3곳, 대구 2곳, 충북 2곳, 경북 2곳, 강원 1곳, 전남 1곳을 비롯해 경남 밀양시와 충북 영동군으로 집계됐다.


또 인구 10만명당 무연고 사망자 수가 5명을 넘은 곳도 인천 미추홀구(9.59), 경남 창녕군(9.46), 대구 중구(9.41), 경기 포천시(8.42), 충북 음성군(8.16), 강원 양구군(8.07), 경북 안동시(8.05), 서울 금천구(7.94) 등으로 나타나 전국 곳곳이 위험군으로 분류됐다.


또 전북 부안군(4.98)과 전남 해남군(4.94), 경북 울진군(4.93), 서울 중랑구(4.92), 강원 삼척시(4.91), 충남 아산시(4.87), 전남 여수시(4.85), 경북 영양군(4.79), 서울 동작구(4.70) 등도 위험군에 육박한 수치를 기록, 잠재적 위험군에 속했다.


전국 229개 지자체 가운데 최근 5년간 무연고 사망자가 1명도 발생하지 않아 무연고 지수가 0인 곳은 충남 계룡시와 전북 남원시·무주군·진안군, 전남 고흥군·광양시·담양군, 경북 고령군, 경남 의령군 등 모두 9곳에 불과했다. 이마저도 담당 인력의 부족으로 제대로 된 집계가 이뤄지지 않거나 관련 자료가 없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단독/2021 무연고사 리포트]10만명당 무연고 사망자 4.15명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유병돈 기자 tamond@asiae.co.kr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