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차이잉원 정부의 신남향정책, 文 정부의 신남방정책과 경쟁할 것"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차이잉원 정부의 신남향정책, 文 정부의 신남방정책과 경쟁할 것"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지난 11일 대만 총통 재선에 성공한 차이잉원 정부가 향후 신남향정책에 속도를 내면서, 문재인 정부의 신남방정책과 경쟁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지난 23일 발간한 '2020년 타이완 선거 이후 양안관계 전망 및 시사점' 보고서는 " 차이잉원 정부가 높은 대중국 경제의존도를 완화하고 수출시장을 다각화하기 위해 '신남향정책' 추진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한국의 신남방정책과 경쟁관계를 형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남향정책의 대상국은 동남아시아 10개국과 남아시아 6개국(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네팔, 스리랑카, 부탄), 오세아니아 2개국(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으로, 한국의 신남방정책 대상국과 상당히 중첩돼 있어 해당국에서 경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만은 이미 신남향정책을 통해 인도네시아에서는 대형 종합농업단지를 설립했고, 타이완을 대표하는 6개의 대형 종합병원이 아세안 6개국의 의료기관과 연계해 각종 협력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베트남에서는 공업용지 업체와 소형 모터 생산업체가, 인도네시아에서는 타이어 메이커, 필리핀에서는 전자업체, 인도에서는 사출성형기기 업체 등이 현지에 생산 거점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2008년을 정점으로 감소추세에 있던 동남아 출신의 유학생 수가 최근 3년간 증가 추세로 돌아섰으며, 2017년 신남향정책 대상국에서 타이완을 방문한 여행객 수도 228만4000명으로 전년대비 27.63% 증가하는 성과를 보였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대만이 중국에 의존적인 무역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무역 다변화를 추진하려는 경제정책이 한국과 대만 사이의 양자 무역을 활성활 시킬 수 있는 좋은 비즈니스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평가도 있다. 양안관계의 악화는 양안 경제협력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지연시키는 결과를 초래해 중국의 산업 경쟁력 강화에도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산업에서 중국과 경쟁관계에 있는 우리 기업에는 기회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보고서는 또한 대만 문제를 둘러싸고 미·중 경쟁이 첨예하게 전개될 경우, 주변 정세 불안에 따른 경제적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어 예상 가능한 시나리오를 사전에 준비하여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도 진단했다.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