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정비·응급환자 이송, 위급상황 대응
부산항만공사, 정부 실용정책 맞춰 운영
부산항 자성대부두가 외항 컨테이너선 위한 '비상용 공용선석'으로 한시적으로 활용된다.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송상근)는 지난 1일부터 자성대부두 일부 선석을 외항 컨테이너선의 긴급 정비나 응급환자 이송 등 비상상황에 대응하는 공용선석으로 한시 운영한다고 2일 알렸다.
자성대부두는 북항재개발 2단계 사업 대상지로 지난해 말 컨테이너터미널 기능을 종료했다. 이후 육상 유휴 공간은 신항 개장부두(2-6단계)의 하역장비 제작장과 컨테이너 장치장 등으로 임시 활용 중이다.
당초 선석은 보안구역 해제와 함께 외항 선박의 접안이 불가능해질 예정이었지만 선사 및 해운업계 등으로부터 접안시설 부족에 따른 활용 요청이 지속되면서 선석 운영 재검토가 이뤄졌다.
BPA는 선사 수요조사를 통해 약 92%의 외항 컨테이너선사가 자성대부두 선석 이용 의사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북항재개발 착공 전까지 선석을 한시 운영하기로 했다. 보안구역 유지와 관련한 연간 비용 약 14억원은 공공성과 실용성 관점에서 감수하기로 했다. BPA는 보안기관 및 CIQ 기관과의 재협의를 거쳐 이용 조건을 마련했다.
해당 선석은 부산항에 입항하는 외항 컨테이너선 가운데 ▲운항 중 긴급 정비(간단수리 포함) ▲선박 검사 ▲선원 응급환자 이송 ▲정부 조사 등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한해 최대 48시간 이용할 수 있다. 긴급상황 시 24시간 연장이 가능하다.
BPA는 인근 주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꼭 필요한 선박에 한정된 이용이 이뤄지도록 접안 조건을 다소 엄격하게 설정했다.
송상근 BPA 사장은 "선사들 요청을 수용해 자성대부두를 공용선석으로 한시 운영하게 됐다"며 "이를 통해 부산항 이용 편의성을 높이고, 부두 및 정박지 혼잡을 완화하고 항만연관 산업체 매출 증가 등 다양한 효과가 기대된다"고 힘줬다.
지금 뜨는 뉴스
한국해운협회 부산사무소 김세현 소장과 한국국제해운대리점협회 이태수 지회장은 "공기업으로 책임감 있는 결정을 내려준 BPA에 감사드린다"며 "이번 조치는 부산항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답했다.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