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역사 문제와 경제 분리 대응 선명히"
文 전 대통령, 당시 美→中→日 순으로 통화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직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이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통화한 것과 관련에 일본 언론들이 "대일 관계를 중요하시고 있는 것"이라는 해석을 내놨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취임 직후 미국, 중국, 일본 순으로 통화했던 만큼 정상들과의 대화 순서에 집중하고 있는 모양새다.
10일 연합뉴스는 보수 성향 일간지인 요미우리신문이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총리가 전날 약 25분간의 통화해서 한일관계를 더욱 강화하기로 약속했다고 전했다는 내용을 보도했다.
요미우리는 "이 대통령이 외국 정상 가운데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이시바 총리와 통화했다"라며 "이 대통령은 과거 일본과 관계 강화에 부정적 발언을 거듭한 경위가 있지만, 이날은 윤석열 정부에 이어 대일 관계를 중시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일본 정부와 언론은 문재인 전 대통령이 취임 직후 미국, 중국, 일본 정상과 차례로 통화한 것을 염두에 두고 이 대통령의 통화 순서에 큰 관심을 보여 왔다.
요미우리는 "문 전 대통령은 아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와 첫 통화에서 (박근혜) 전 정권이 일본과 체결한 위안부 합의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의견을 표명했다"라며 "실제로 합의를 백지화해 (취임 초반부터) 한일관계는 극도로 악화했다"고 전했다.
지금 뜨는 뉴스
이어 "이 대통령은 '상호 국익'을 고려한 협력에 의욕을 나타냈다. 역사 문제와 경제·안전보장을 분리해 대응하겠다는 자세를 선명히 했다"라며 "양국에 불화가 생길 경우 이 대통령이 지지층을 진정시켜 냉정하게 대응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일본의 불안이 강하다. 일본은 정상회담을 거듭해 신뢰를 쌓고 양국 관계를 안정화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지수 인턴기자 parkjisu0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