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역 장애인단체가 발달장애인의 제21대 대통령선거 투표권 보장을 촉구했다.
마산·창원장애인인권센터와 사단법인 위드장애인인권센터는 2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발달장애인도 대한민국 유권자인데 투표할 수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발달장애인 7명이 지난달 29~30일 제21대 대선 사전투표 때 창원시 성산구와 마산회원구, 마산합포구의 사전투표소에서 각각 투표하려 했으나 투표보조인 지원을 받지 못해 투표를 포기했다고 전했다.
"발달장애인은 투표 순서나 투표용지에 적힌 글을 이해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고, 한글을 모르거나 낯선 장소에서 기표를 재촉당하거나 눈치를 주는 것 등이 어려움 중 하나"라며 "참정권이 보장되려면 본인이 원하는 투표보조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매뉴얼에는 시각 또는 신체장애로 혼자서 기표하기 어려운 경우 가족 1인 또는 본인이 지정한 2인에게 보조를 받을 수 있다고 돼 있다"며 "어디에도 혼자서 투표하기 어려운 발달장애인에게 투표보조인을 지원해야 한다는 문구가 없어 선거관리위원회 직원들은 떳떳하게 발달장애인 참정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발달장애인 참정권 행사가 투표권 내 선관위 위원에 의해 좌지우지돼야 하냐"며 중앙선관위와 경남선관위, 창원선관위에 공식 사과와 재발 방지책 마련을 요구했다.
▲선거사무원 장애인인식개선교육 의무 실시 ▲발달장애인 위한 이해하기 쉬운 공보물 제공 ▲정당로고·후보자 사진·색깔 등 포함된 그림투표 보조용구 지원 등도 촉구했다.
황현녀 마산·창원장애인인권센터장은 "3년 전 지방선거 때도 이 문제를 제기했는데 그때도 이번에도 투표보조인 지원이 일부 투표소에서만 이뤄졌다"며 "센터에 접수된 투표 포기 인원이 7명이고 미접수된 건은 더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달 30일 발달장애인 본인 또는 가족이 지정하는 2명의 투표 보조를 받을 수 있게 한 법원의 임시 조치를 언급하며 "임시 조치가 허용됐지만, 당일에도 보조 지원을 못 받았다. 이제는 참을 수 없어 국민으로서 주권을 강력하게 주장하겠다"고 했다.
그는 "투표소에 있는 선거 지원 인력 2명에게 도움을 받으라는데, 처음 본 사람이랑 어떻게 투표하겠냐"라며 "부정선거가 우려된다는 편견 때문에 참정권을 침해당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회견 후 경남선관위에 항의 방문했다.
오는 3일 제21대 대선 본 투표 당일에는 사전투표를 포기한 7명과 함께 투표소를 찾을 예정이다.
지금 뜨는 뉴스
센터는 "각 지역 투표소에서 발달장애인을 위한 투표보조인 지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선관위를 상대로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이세령 기자 ryeo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