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 '자연유산 보호계획' 수립
보호 역량 고도화하고 미래가치 창출
보존·활용 선순환 체계 구축해 향유·전승
국가유산청은 2023년 3월 제정된 '자연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2025~2029 자연유산 보호계획'을 수립했다고 2일 밝혔다.

자연유산 분야의 체계적인 보존·관리·활용을 위한 첫 법정계획이다. 기존 '문화재보호법'에서 '기념물'로 구분됐던 자연유산이 지난해 '국가유산 체계' 도입으로 독자적 영역을 구축함에 따라 향후 5년간의 비전과 정책 방향을 담았다. '함께 지켜온 자연유산, 함께 이어가는 미래유산'을 비전으로 '보호 역량 고도화'와 '미래가치 창출', '보존·활용 선순환 체계 구축'을 추진한다. 관계자는 "자연유산을 단순한 보존의 대상이 아닌 국민과 함께 향유하고 미래세대에 전승할 통합적 자산으로 관리하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국가유산청은 실질적인 보호 역량을 갖추고자 자연유산 관리단체의 보호 활동을 장려하는 '자연유산 관리협약'과 천연기념물·명승 구역 주민들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주민지원'을 구체화한다. 동·식물, 지질, 명승, 전통 조경 등 다양한 형태의 자연유산을 맞춤형으로 보존·관리하는 체계도 구축한다. 더불어 최근 심화한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범정부적 대응 기반을 갖추고, '공개동굴 환경 상시 점검'을 통해 사전·즉각적 대응체계를 세운다.
미래가치 창출을 위한 방안은 크게 세 가지다. 비무장지대(DMZ)를 비롯해 동산형 지질유산, 근·현대 명승 등의 보호 영역을 새롭게 발굴·확장하고, 주민들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자연유산을 대상으로 '마을 중심 보호 협의체'를 구성해 '지역 단위 자연유산 연계 보존·활용 사업'을 진행한다. '디지털 자연유산 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해 실시간 점검과 즉각적인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보존·활용 선순환 체계는 '역사·문화 연계 콘텐츠' 개발·보급, 전면경관을 볼 수 있는 '파노라마 뷰' 설치, 장애인·노년층을 위한 맞춤형 콘텐츠 등을 통해 유도한다. 아울러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자연유산 인증·방문 캠페인'·'명승 옛길 탐방 프로그램' 등 지역 특화 관광브랜드를 개발하고,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등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대한 보존·관리를 강화한다.
지금 뜨는 뉴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기존 보존 위주의 정책에서 주민 참여·국민 공감형 통합 전략으로의 전환"이라며 "관련 예산을 마련하고 관계기관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자연유산 보호 체계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겠다"고 말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