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이 '공유형 개인 이동장치(이하 공유 PM)'의 불법 주정차를 자동으로 검지한 후 이동 조치 우선순위를 제시하는 기술이 국내에서 처음 개발됐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도로교통 연구본부 연구팀이 기존 공공 CCTV 영상을 분석해 공유 PM의 불법 주정차를 자동으로 검지, 넘어짐 여부와 주정차 지속 시간을 분석해 위험도를 판단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기술은 기기별 형태와 색상 등으로 운영업체를 특정할 수 있다. 또 불법으로 주정차 된 공유 PM의 위험도에 따라 이동 조치할 우선순위까지 알려준다.
특히 기존 공공 CCTV를 활용하는 덕분에 추가 인프라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점(비용 절감)과 인력을 늘리지 않고도 공유 PM의 불법 주정차 단속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점은 최대 장점으로 꼽힌다.
건설연은 이 기술로 불법 주정차의 단순 검지를 넘어 운영사 식별과 위험도 판단까지 할 수 있어 긴급 대응이 필요한 상황에서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공유 PM은 전기 동력을 이용한 친환경 이동 수단으로 주목받는다. 반대로 공유 PM 불법 주정차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교통약자의 이동 불편을 야기한다는 점에서 사회문제로 대두된다.
박선규 건설연 원장은 "이번 기술 개발은 국민의 보행 안전을 확보하고, 공유 PM의 관리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건설연은 앞으로도 안전한 교통 환경 조성을 위한 연구개발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건설연 중소·중견기업 지원사업 중 하나인 '영상 AI 기반 공유형 PM 불법 주정차 검지 기술 개발(2023~2024)' 과제를 통해 진행됐다. 건설연은 개발한 기술을 ㈜핀텔에 기술을 이전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