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교육부 '전국 보육실태조사' 발표
보육·교육비, 식·의류비 포함한 양육비, 2021년 대비 14만원↑
자녀 양육시 '이른 출근, 늦은 퇴근' 때문에 어려움
지난해 영유아를 키우는 가정에서 보육 및 교육을 포함해 지출한 양육비는 월평균 111만6000원으로 나타났다. 3년 전(2021년)조사 때보다 14만원 상승했지만, 가구 소득 대비 비중은 19.3%에서 17.8%로 소폭 줄었다.
영유아의 어린이집 이용률은 97.3%였으며,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의 시설을 처음 이용하는 시기는 평균 19.8개월이었다. 2009년 조사에선 평균 30개월이었던 점을 상기하면, 생애 최초로 보육·교육기관에 다니는 시기가 지속적으로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0일 교육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전국 보육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영유아보육법에 따라 3년마다 시행되는 법정 조사로, 2004년 처음 실시해 이번이 일곱번째다. 이번 조사는 보육료나 유아학비, 부모급여 또는 양육수당을 수급하는 2494가구와 어린이집 3058개를 대상으로 지난해 8∼12월 시행됐다.
이 결과, 영유아 가구의 가구원 수는 평균 3.5명으로, 2018년 3.9명·2021년 3.8명에 이어 감소세를 이어갔다. 이들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625만4000원으로, 전체 가구의 월평균 소득(525만5000원, 2024년 3분기)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부모 취업률은 아버지 97%, 어머니 64.2%로 나타나, 2021년 조사 때(95.2%, 54.1%)에 비해 일하는 부모 비율이 늘었다.
반면, 자녀와 함께 보내는 시간은 어머니 7.1시간, 아버지 3.7시간으로 각각 0.8시간, 0.3시간씩 줄었다.
육아휴직 이용 경험은 어머니 단독이 34.5%로 가장 많았고, 아버지 단독 3.6%, 부모 모두 6.1%였다. 2021년 조사에선 각 32.6%, 2.1%, 2.4%였다.
취업 중인 주 양육자가 주로 겪는 어려움은 '긴급 상황'(3.3점), '이른 출근'(3.2점), '늦은 퇴근 시간'(3.2점)이었다.
양육 형태로는 어린이집·유치원·반일제 학원 등 외부 기관을 이용하는 경우가 55.2%에 달했다. 어머니가 양육하는 경우는 37.3%로 뒤를 이었다. 이어 조부모 양육 4.4%, 아버지 2.1%, 육아전문인력 고용 0.2% 순이었다.
기관 선택 시 어린이집 이용자는 '집과의 거리'(32.8%)를, 유치원 이용자는 '프로그램'(26.8%)을 우선 순위로 생각했다.
이용 시간은 어린이집 7시간 31분, 유치원 7시간 20분으로 각각 2021년 대비 19분, 16분씩 늘었다. 각 기관의 희망 이용시간을 물은 결과, 평균 8시간 13분 이용하고 싶다고 답해 실제 평균 이용시간(7시간 25분)보다 48분 많았다.
연장보육을 이용하는 비율은 33.7%, 기본보육만 이용하는 비율은 66.3%였다. 연장보육 이용 사유로는 '돌볼 사람이 없다(78.8%)'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미사용 사유로는 '필요 없다(73.8%)' 외에 '장시간 보육이 발달에 좋지 않아서(21.7%)'로 나타났다.
전체 영유아 기준 보호자의 기관 이용 부담 비용은 월평균 14만6000원이었다. 어린이집 이용 시 보호자 부담 총비용은 월평균 7만원으로, 2021년보다 1만4000원 증가한 반면 유치원은 17만7000원으로 1만2000원 감소했다.
보육·교육 기관의 만족도 조사에서는 평균 91.9%가 만족(매우 만족, 만족)한다고 했다. 2021년 77.7%였던 것에 비해 크게 올랐다.
반면, 개선해야 할 점으로는 '교육내용 다양화'가 18.3%로 가장 많았고, '인력증원(17%)', '노후시설 정비(14.9%)', '인력의 질 제고(10.3%)' 순이었다.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처우 조사에서는 월평균 급여가 287만3000원으로 2021년 대비 9.0% 상승했다. 보육교사의 점심·휴게시간은 60분으로 2021년보다 8분 늘었고, 점심·휴게시간을 포함한 1일 총 근무 시간은 5분 감소한 9시간38분이었다. 또한 조사에 참여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중 3000명을 대상으로 한 권익보호 조사에서 17.7%가 '근무 중 권리침해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권리침해 주체(복수응답)는 보호자가 63.0%로 가장 많았고 이어 원장(40.8%), 동료 교직원(17.3%), 어린이집 대표자(1.7%), 위탁업체(0.8%) 순이었다.
지금 뜨는 뉴스
강민규 교육부 영유아정책국장은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보호자의 양육 부담을 완화하고 일·가정 양립을 실현할 수 있도록 시간제 보육 활성화 방안, 연장보육 확대 지원 방안, 공공보육·교육기관 확대 방안 등 다양한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