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국민 "투표 위해 길게는 1박2일 이동"
李 "국민의힘 반대 가능성…국회 논의해야"
한류 알리는 K인터넷대학 제안엔 "좋은 생각"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재외국민들의 참정권 보장을 위해 우편투표제, 투표소 확대 등의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한 재외국민이 한류를 강의하는 'K-인터넷대학 조성'을 정책으로 제안하자 "좋은 생각"이라며 수첩에 메모하는 모습도 보였다.
20일 오전 이 후보는 재외국민들과 'K-이니셔TV: 세계 속의 대한국민 랜선 토크, 토크!' 줌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 후보는 우편투표제가 필요하다는 한 재외국민의 말에 "재외국민의 (투표에 필요한) 비용을 다 댈 수는 없지만 최소한의 편의는 봐줘야 하지 않느냐"며 "투표소를 늘리거나 등록과 동시에 투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강구해 쉽게 투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 참여한 재외국민들은 투표소가 먼 거리에 있는 탓에 투표를 위해 길게는 1박2일의 일정을 소화해야 한다고 전했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을 다니고 있는 강휘현씨는 "시카고 투표소에서 투표를 할 예정인데 250㎞가 떨어져 있어 왕복 약 300달러의 비행기를 타고 투표를 해야 한다"고 했다. 아프리카 보츠와나에 사는 정선재씨는 "보츠와나는 대사관, 영사관이 없어 국경을 넘어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투표해야 한다"며 "일단 가면 1박2일로 가야 한다"고 했다.
이 후보는 "이런 것(투표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을 할 때마다 국민의힘은 반대한다"며 "사전투표도 하지 말자고 하고 투표 시간도 줄이자고 하고, 지금도 그렇게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투표를 못 하게 하는 것이 기득권의 목표이기 때문에 투표를 안 하는 것은 중립이 아니라 결국 그들을 도와주는 것"이라고 투표를 독려했다.
간담회 이후 경기 의정부 모처에서 기자들과 만난 이 후보는 '우편투표제 도입 가능성'을 묻자 "재외국민들에게 우편투표 기회를 박탈하는 게 타당한지 의문"이라며 "국민의힘 측에서 반대할 가능성이 높지만, 국회에서 적절하게 합리적인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또 "재외국민이 많은 곳엔 임시 인력을 고용해 임시 투표소를 설치하면 되지 않겠냐"며 "개인이 수십~수백만원씩 쓰는 것보다는 국가가 이 정도는 배려해줘야 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한국의 문화를 알리는 K-인터넷대학이 필요하다는 일본 거주 이미현씨의 정책 제안에는 "정말 좋은 생각"이라며 수첩에 이를 메모하기도 했다. 이씨는 "히토츠바시대학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데, 언어를 가르치는 것은 그 나라의 문화와 정신도 함께 가르치는 것이라고 본다"며 "그러나 일본 전체 대학에 한국학과가 없어 K-사이버대학 형태의 교육기관이 있으면 어떨까 생각해봤다"고 했다.
이 후보는 이에 "정말 좋은 생각"이라며 "다큐멘터리에서 세종학당이라는 비슷한 것을 봤는데, 수요가 상당히 많다고 한다"고 했다. 이어 "세종학당 중 우수 학생을 뽑아 성균관대인가 유학생으로 보내준다고 하던데, 이를 국가 단위에서 지원한다면 좋을 것 같다"며 "K-인터넷 대학은 생각지도 못했는데, 외국인 중 한국어를 잘 배워 한국으로 유학 오고 싶은 사람들을 선발해 각 대학의 가외 정원으로 인정해주면 좋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이씨에게 "관련 정책을 별도로 텔레그램 메시지로 전달해달라"고 말하기도 했다.
간담회 중 이 후보는 "대일관계에 있어 적대적일 것이라는 편견이 있다"고 직접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독도 문제나 과거사 문제에 있어서는 강경하지 않을 수 없다"며 "그러나 그거밖에 안 보니까 그런 것인데, 문화교류나 한일협력과 관련해서는 적극적, 개방적인 태도를 갖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김대중 전 대통령이 일본에 문화를 개방하면서 대한민국의 문화가 엄청나게 발전했다"며 "독도문제, 영토 문제는 강경하게 대응하더라도 한일 간 민간교류나 외교 문제 등은 떼어서 봐야 한다"고 부연했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김용태 국민의힘 공동선거대책위원장 겸 비상대책위원장이 대선후보 배우자 토론을 제안한 데 대해 이 후보는 "이준석 후보는 어떻게 하냐"며 "말이 되는 소리를 해야 한다"고 웃으며 대응했다. 그는 "즉흥적이고, 무책임하고, 대책 없는 것이 그 당의 문제"라며 "신성한 주권의 장을 장난치듯이 이벤트화 해선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황서율 기자 chestnu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