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44명으로 작년보다 크게 줄어
도덕적 해이 비판에 자정 작용 영향
주요 선거를 앞두고 휴직자가 급증해 뭇매를 맞았던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올해는 대선을 앞두고도 이례적으로 휴직자가 감소했다. 선거철 바쁜 업무를 피하기 위해 휴직자가 늘어나는 도덕적 해이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이 높아진 데다 선관위가 자체 자정 작용을 강화한 것이 효과를 본 것으로 풀이된다.
20일 아시아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4월30일 기준 선관위 휴직자는 144명으로 전체 2982명의 4.8%로 집계됐다. 144명의 휴직자 가운데 육아휴직자가 99명이며, 질병·가족돌봄 등 기타 사유가 45명이다. 지난해 육아휴직자가 105명, 질병·가족돌봄 등 기타 사유가 66명 등으로 총 171명에 달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16%가량 감소했다.
특히 대통령 선거와 전국동시지방선거가 겹쳐, 양대선거를 치렀던 2022년 4월 말을 기준으로 휴직자가 219명까지 치솟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유의미하게 감소한 수치다.
올해 선관위 휴직자 수가 감소세로 전환한 것은 선거철을 앞두고 대거 휴직자가 발생하는 도덕적 해이에 대한 감시의 눈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선거철 휴직자 급증 사례가 언론에 보도되자 국회 각 의원실을 통해 선관위에 휴직자 정보 공개 요구가 이어졌다. 선관위에서는 휴직 자제 공문이 내부 발송됐으며, 자정 기능 요구가 대폭 강화됐다. 김용빈 선관위 사무총장은 지난 3월 직접 향후 관리하는 선거에서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불요불급(선거 전 휴직하고 선거 후 복직을 반복)한 휴직 자제를 당부하기도 했다.
최근 남성의 육아휴직 등 양성평등 문화가 조성되면서 육아휴직자가 증가하는 추세지만 올해는 과거 선거철 대비 증가 폭이 크지 않다는 게 선관위 설명이다. 선관위 관계자는 "올해 6월 조기 대선이 치러지면서 내부에서도 휴직자가 더 늘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지만, 휴직 자제 공문에 이어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휴직을 할 시 '타 시·도 전보조치'까지 언급되면서 자제하는 분위기가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