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에 탈당 의견 제시할 계획 없어"
尹 압박?…"그것도 尹이 결정할 문제"
정호용 임명 논란에는 "제 부주의 탓"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당 최종 후보로 확정된 이후 윤석열 전 대통령과 통화를 했지만 탈당을 만류하거나 요구한 사실은 없다고 김 후보 측이 15일 밝혔다.
김재원 국민의힘 후보 비서실장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 후보와) 윤 전 대통령의 의사소통이 분명히 있었다"며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의 탈당 문제는 윤 전 대통령 판단에 따를 것이고, 결정을 존중하겠다고 말한 것 외에는 다른 말이 없었다"고 했다.

김 비서실장은 두 사람의 의사소통 시점에 대해선 "제가 김 후보에게 확인한 바로는 이번에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후보 교체 논란이 있고 난 다음"이라며 "김 후보가 후보로 확정된 이후에 의사소통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때 말한 내용이 여러 가지 논란을 벌이고 있지만 그에 대한 정확한 내용은 단 한 가지"라며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 탈당 문제에 대해 전혀 의견을 제시한 바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만 (탈당이) 문제가 된다면 윤 전 대통령의 판단과 결정을 존중하겠다는 것이 처음부터 일관된 입장"이라고 했다.
그는 "김 후보가 따로 윤 전 대통령에게 (탈당 관련) 의견을 제시하거나 요구할 생각은 없다"며 "이 문제는 윤 전 대통령이 현재 상황을 보고 판단할 영역"이라고 재차 설명했다.
김 후보가 윤 전 대통령 판단에 따르겠다고 밝힌 것이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탈당 압박으로 비춰질 수 있다는 질문엔 "그 문제도 전적으로 윤 전 대통령이 판단하고 결정할 문제"라고 했다.
김 비서실장은 윤 전 대통령이 김 후보에게 전화해 '계엄에 사과'한 부분을 따졌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부인했다.
그는 "최근 모 유튜버가 윤 전 대통령이 김 후보에게 전화해서 '계엄 사과' 부분에 대해서 다른 의견을 말했다는 건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그에 대해선 엄중 대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을 변호했던 석동현 변호사를 선거캠프에 영입한 것이 윤 전 대통령과의 거리두기가 필요하다는 당내 일각의 주장과 배치된다는 지적에는 "그런 비판에 대해 심사숙고하고 있고, 겸허히 수용해 앞으로 개선하겠다"고 했다.
최근 국민의힘 중앙선대위가 5.18 광주 민주화운동 진압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한 정호용 전 국방부 장관을 상임고문으로 임명했다가 취소한 것을 두고는 자신의 부주의라며 사과했다.
김 비서실장은 "김 후보를 지지하는 많은 전직 의원 모임이 있는데, 그분들이 (정 전 장관을) 상임고문으로 위촉해주면 좋겠다고 캠프에 알렸고 그걸 제가 취합해서 전달하는 과정에서 제 부주의로 미처 확인을 못 했다"고 말했다.
이어 "어젯밤에 문제 제기가 되고 나서 저에게 명단을 보내주신 분들에게 사정을 설명하고, 선대위 절차를 거쳐서 다시 (임명을) 취소하는 방식으로 결정을 했다"며 "그래서 상당한 시간이 지체됐지만 그에 대해선 대단히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했다.
김 비서실장은 김 후보가 비상계엄에 사과한 것이 계엄 자체에 대한 사과인지, 아니면 계엄 이후 벌어진 피해에 대한 사과인지 묻는 말에는 "김 후보 말을 그대로 받아들여 달라"며 "그 사과에 모든 진정성이 녹아있다"고 했다.
지금 뜨는 뉴스
앞서 김 후보는 이날 오전 긴급 기자회견에서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진심으로 정중하게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설사 헌법에 보장된 대통령 권한이라도 국가적 대혼란이 오기 전에는 계엄권이 발동되는 건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