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인 존중 받는 3대 공약 발표
'성실한 실패' 보장…도전적 연구 장려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인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1일 과학기술부총리를 신설해 예산과 조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원의 정년을 65세로 회복시키는 등 처우를 대폭 개선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전 장관 측은 이날 이같은 내용을 담은 '과학기술인이 존중받는 대한민국을 위한 3대 정책 목표' 공약을 발표했다.
김 전 장관은 기존 과학기술기본법을 과학기술인의 지위, 처우, 권리보장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개정해 국가 차원에서 위상을 높이는 체계를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또 과학기술 연구개발과 관련한 예산과 조직을 통할하는 과학기술부총리를 신설하는 한편, 세계 과학계와 협력하는 과학특임대사직도 새로 만들겠다고 했다.
김 전 장관은 부총리 신설 관련 "총괄 기획과 효과적인 자원배분을 통해 예산과 조직의 중복과 누락을 방지함으로써 효율적인 과학기술 주도 혁신성장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했다.
김 전 장관은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원의 정년을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전 수준인 65세로 회복시키고 프로젝트 기반의 급여체계(Project Based System) 제도를 폐지하거나 전면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김 전 장관은 "연구개발 직군 연봉 표준을 미 국립연구재단(NSF)의 80% 수준까지 대폭 보장할 것"이라며 "과학기술인의 주거안정, 자녀교육 등을 위한 복지 패키지를 마련하고 훈·포장 수여 비율도 대폭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성실한 실패'에 따른 연구 성과 인증제도를 도입해 도전적인 연구를 장려하겠다고 설명했다.
지금 뜨는 뉴스
김 전 장관은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해외 연구기관과 인력 유치를 위한 '5대 첨단기술 국제공동연구센터'도 구축하겠다"고 했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