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장분석업체 암페어, 韓 콘텐츠 주목
"넷플릭스에서 미국 제외하고 가장 인기 있어"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OTT) 넷플릭스에서 한국 콘텐츠가 미국 할리우드 콘텐츠에 이어 뜨거운 인기를 누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연합뉴스는 15일(현지시간) "글로벌 미디어 시장분석업체 암페어가 '한국 프로그램은 넷플릭스에서 미국 콘텐츠를 제외하고 가장 인기 있는 콘텐츠'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냈다"고 보도했다.
해당 업체에서 넷플릭스의 시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 콘텐츠는 지난 2023년 이래 넷플릭스 전체 시청 시간에서 1위인 미국 콘텐츠(56∼59%)에 이어 점유율 2위(8∼9%)를 기록하고 있다. 이어 영국(7∼8%)과 일본(4∼5%) 콘텐츠 순이었다. 이들 두 국가는 전통적으로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영국은 미국 할리우드에 이어 양질의 드라마 시리즈를 제작해 세계 시장에 공급해 왔으며, 일본은 각종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세계적인 팬층을 확보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한국 콘텐츠의 인기가 뜨거워지면서 영국과 일본 콘텐츠를 앞질렀다. 암페어는 "현재 한국은 넷플릭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미국 외(non-US) 프로그램과 영화 500개 중 85개(17%)를 차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대표적인 히트작으로는 지난해 하반기 스트리밍 6억1990만 시간을 기록한 드라마 '오징어 게임' 시즌 2와 '엄마친구아들',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 등이 있다. '오징어 게임' 시즌 1과 '눈물의 여왕', '사랑의 불시착' 등 공개된 지 수년이 흐른 드라마들도 OTT를 통해 전 세계인에게 꾸준히 시청되고 있다.

암페어는 이 같은 한국 콘텐츠의 성공을 '오랜 기간 확립된 콘텐츠 제작 및 라이선싱 전략'에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보고서에는 "지난해 하반기 넷플릭스에서 상위 100위 안에 드는 한국 작품의 절반 이상이 자체 오리지널 작품이었고 31%가 넷플릭스 독점이었으며, 그중 대다수를 한국의 콘텐츠 강자인 CJ ENM이 제공했다"고 밝혔다.
이어 "넷플릭스가 오는 2028년까지 한국 콘텐츠에 25억달러(약 3조5708억원)를 투자하기로 한 것은 한국 콘텐츠 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한국의 콘텐츠 업체들도 글로벌 한류 현상에 올라타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CJ ENM의 대규모 투자와 해외 스튜디오들과의 협업 확대 사례 등을 소개했다.
지금 뜨는 뉴스
암페어 측은 미국 매체 '버라이어티' 인터뷰에서 "한국 콘텐츠는 '오징어 게임', '킹덤'과 같은 히트작과 함께 지속적인 시청 시간을 끌어내며 넷플릭스의 세계적인 성공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며 "넷플릭스는 오리지널 제작과 라이선스 콘텐츠를 포함한 고품질의 한국 작품에 계속해서 투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