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한 협상엔 트럼프 직접 참여"
WSJ "한·영·호·인·일 등 우선시"
"中과도 협상…美국채 투매, 해외정부 증거없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서 무역 협상을 이끄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다음 주 한국과의 무역 협상을 예고했다. 먼저 협상하는 국가일수록 유리하다며 동맹국들에 빠른 협상 참여를 촉구했다.
14일(현지시간) 베선트 장관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블룸버그TV와 인터뷰하며 "지난주에는 베트남, 수요일(16일)에는 일본, 다음 주에는 한국과의 협상이 있다"면서 "(협상은)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16일 협상을 앞둔 일본의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서는 "우리 동맹국들에 이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먼저 움직이는 사람(first mover)은 이점이 있을 것"이라며 "보통 가장 먼저 거래하는 사람이 최고의 합의를 하게 된다"고 했다. 누가 먼저 합의할 것인지 묻는 말엔 "그들의 선택"이라고 답했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행정부가 새로운 무역 협상에서 한국과 영국, 호주, 인도, 일본 등을 우선시하고 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소식통은 베선트 장관이 측근들에게 이들 동맹국이 자신의 최우선 목표라고 밝혔으며, 각국 관계자들과 연락을 취하고 있다고 말했다. WSJ는 베선트 장관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무역 자문으로 협상을 이끌게 된 이후 상호관세를 부과받은 국가들과 신속하게 소통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고 전했다.
베선트 장관은 그간 트럼프 행정부 경제 참모 중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피터 나바로 백악관 고문 등에 밀린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지난 9일 상호관세 90일 유예 발표부터 전면에 나서고 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CNBC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이후 10개국 이상이 미국에 놀라운 무역 협상을 제안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9일부터 전 세계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으나, 90일간 유예를 발표하고 각국과 협상에 들어갔다. 유예 기간이 끝나기 전 협상을 타결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들이 있는지 물음에 베선트 장관은 "여러 나라가 있을 수도 있고, 실제 무역 협정문은 아닐 수 있지만 원칙적인 합의에 도달해 그 기반 위에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며 "상황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최대한 신중하면서도 빠르게 움직일 것"이라고 밝혔다. 또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수년간 수집해온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외신들은 70여개국을 상대로 하고, 시간이 촉박한 만큼 무역 수지 개선과 무역 장벽 완화 등 약속을 담은 간소화된 합의를 할 것이라고 내다본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제한적인 범위의 무역 협상을 하는 데도 몇 개월이 걸린 만큼 90일 만에 모든 국가와 전통적인 무역 협정을 체결하기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특히 한국의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와 방위비 분담금 등을 함께 논의할 수 있다는 무역·안보 연계 '원스톱 쇼핑'을 언급한 만큼 시간이 더욱 촉박하다.
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완전히 없앨 수도 있느냐는 물음에 베선트 장관은 "나는 '최선을 다해 임하라. 무엇을 준비했는지 본 다음 판단하겠다'고 한다"며 "협상이 어떻게 전개될지는 모른다"고 했다. 이어 "관세, 비관세, 무역장벽, 환율 조작, 보조금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정말 많다"고 덧붙였다. 또 가장 중요한 교역 파트너국과의 협상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보복관세를 주고받으며 누적 관세율 145%의 '관세 폭탄'을 부과한 중국에 대해서도 협상 여지를 열어놨다. 그는 이에 대해 "농담이 아니다"면서도 "이것은 큰 숫자이며, 아무도 이것이 지속 가능하다거나 계속 유지될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과는 언젠가는 큰 거래가 이뤄질 것"이라며 "중국은 우리의 최대 경제 경쟁국이자 군사적 라이벌이기 때문에, 중국과의 협상은 다른 나라들보다 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최근 미국 국채 금리가 급등한 가운데 외국 정부 등 세력이 미 국채를 투매하는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는 "(투매 세력이) 외국 정부들이라는 증거는 없다"고 했다. 최근 중국이 미국 국채를 투매해 압박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 데 선을 그은 것이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