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제 확대 지정 이후 서울 상승 지속
전국 매매가 0.13% 상승…세종 0.25%↑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된 이후인 4월 첫주 서울 부동산 매매가격이 전주 대비 0.21% 상승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 인용으로 당분간은 숨고르기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4월 첫째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3% 상승했다. 서울은 0.21% 올라 수도권(0.15%) 시세 상승을 주도했다. 경기·인천은 0.08% 올랐다. 5대광역시는 0.04%, 기타지방은 0.10% 상승했다.
전국 17개 시도 중 상승한 지역이 16곳으로 전국적으로 상승 흐름이 강하게 나타났다. 개별 지역으로는 △세종(0.25%) △서울(0.21%) △경북(0.17%) △제주(0.14%) △대전(0.12%) △인천(0.12%) △대구(0.12%) △전북(0.10%) 순으로 오름폭이 컸다. 부산은 유일하게 0.03% 하락했다.
지난 3월 월간 기준 전국 변동률은 0.33%를 기록했다. 전국 대부분 지역이 하락 전환되거나 내림세가 지속됐으나 서울은 전월(0.76%) 대비 0.42%p 올라 상승폭이 컸다. 울산도 2개월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다.
4월 첫째 주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3% 상승했다. 수도권(0.00%)보다는 지방의 전셋값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서울이 0.04% 하락한반 면 경기·인천 지역은 0.03% 상승했다. 5대광역시는 0.11% 뛰었고, 기타지방은 0.10% 상향 조정됐다.
전국 17개 시도 중 전세가격이 상승한 곳은 15곳이다. 전세가 오름폭이 큰 지역은 △전남(0.33%) △울산(0.33%) △전북(0.19%) △부산(0.18%) △강원(0.16%) △세종(0.13%) △충북(0.12%) △대구(0.10%) 순이다. 대전은 0.11%, 서울은 0.04% 하락했다. 3월 월간 전국 전세가 변동률은 0.09%를 기록해 20개월 연속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이 인용되면서 정부의 주요 부동산 정책 추진 과제였던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폐지, 임대차2법 재검토, 다주택자 중과세 완화 등이 사실상 추진 동력을 잃게 될 것으로 보인다.
주택 공급 불안 이슈가 장기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임기 5년간 목표로 했던 주택 270만호 공급 계획과 재건축·재개발 사업 촉진에 관한 특례법(재건축 촉진법) 등 공급 확대, 정비사업 규제완화 등은 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 뜨는 뉴스
백새롬 부동산R114 책임연구원은 "5월 말, 6월 초로 예상되는 조기 대선을 앞두고 여야 대선후보들의 부동산 관련 공약과 정책 방향성 등의 윤곽이 나오기 전까지 내 집 마련 실수요자와 투자자 모두 제한된 움직임을 보일 것"이라며 "당분간 주요 정당들의 대선공약 내용들을 분석하며 숨 고르기 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