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소비자물가상승률 2.1%
석 달째 2%대 물가…"1~3월 목표 근접"
산불 피해 반영 안 돼…가공식품은 상승 추세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석 달째 2%선 안팎을 기록하고 있다. 정부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이라고 평가했지만 개인서비스와 가공식품의 물가상승률이 가파르다. 지난달 산불 피해로 영남권이 주산지인 농산물의 가격이 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석 달째 2%대 물가…"1~3월 목표 근접"
2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과 비교해 2.1% 상승했다. 지난 2월(2.0%)보다 오름세가 소폭 확대된 모습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1.3%)을 저점으로 11월(1.5%), 12월(1.9%) 등 상승 흐름을 보이다가 새해 들어 2%대로 재차 올라선 이후 3개월째 2%대 초반의 상승률이 이어지고 있다.
품목 중에서는 개인서비스가 전체 물가상승률의 1.05%포인트를 기여하며 상승세를 주도했다. 지난달 개인서비스 물가상승률은 3.1%로 직전 달보다 0.1%포인트 올랐다. 개인서비스 중 외식부문은 3.0%로 전달과 동일했지만, 외식제외부문이 2.9%에서 3.2%로 0.3%포인트 상승했다. 2월에는 여행상품 가격이 저렴했지만 지난달 봄을 맞아 여행수요가 늘어나며 다시 가격이 오른 효과다.
가공식품도 전년 같은 달보다 3.6% 오르면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가공식품은 지난 1월(2.7%)과 2월(2.9%)에 이어 상승폭이 점차 커지고 있다. 지난달에는 커피(8.3%), 빵(6.3%), 김치(15.3%), 햄 및 베이컨(6.0%) 등이 빠르게 올랐다. 기후변화 등의 요인으로 원자재 가격이 오르는 추세인 데다 지난해 말부터 이어진 고환율과 인건비 부담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럼에도 정부는 물가가 안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임혜영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한국은행의 소비자물가상승률 목표가 2.0%"라면서 "올해 1~3월은 목표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장기 추세를 보여주는 근원물가도 안정적인 수준이다. 가격 변동폭이 큰 식료품·에너지 품목을 제외한 근원물가 지수는 1.9% 올랐고,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2.1% 상승했다.
산불 피해 반영 안 돼…가공식품은 상승 릴레이
다만 향후 물가상승 요인도 존재한다. 지난달 영남권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가 물가에 끼친 영향은 아직 통계에 반영되지 않았다. 경북·경남이 주산지인 봄배추, 마늘, 건고추, 사과, 자두 등의 수급에 차질이 생기면 농산물 물가가 오를 수 있다. 현재 정부는 불이 완전히 꺼진 지역에서 육안으로만 피해 상황을 추정하고 있는데, 다음 달 정확한 피해 상황을 반영한 물가를 공개할 예정이다.
가공식품 물가가 상승 추세인 것도 부담 요인이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가공식품 물가가) 수개월에 걸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가공식품은 최근 2년간 가격상승을 억제해왔지만 최근 인상 압력을 견디지 못하는 모양새다. 2023년 정부는 물가안정을 위해 전담팀을 꾸리고 전반적인 가공식품 가격을 관리해왔다. 당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직접 라면 가격 인하를 권고하기도 했다.
한편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2.4% 오르며 전월(2.6%)보다 오름세가 소폭 둔화했다. 이 가운데 식품은 1년 전과 비교해 2.8% 오르며 상승폭이 커졌고, 식품 이외는 2.3% 올라 전달보다 낮아졌다. 전·월세 포함 생활물가지수도 2.2% 올랐다.
생선, 채소, 과일 등을 포함한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 하락했다. 지난달에 이어 두 달째 마이너스 흐름이다. 신선과실이 6.1% 크게 하락했고, 신선채소와 신선어개가 각각 1.8%, 3.6% 상승했다. 농산물 물가는 전년 같은 달 대비 1.1% 하락했고, 채소류는 1.8% 오르는 데 그쳤다. 축산물과 수산물은 전년 같은 달 대비 각각 3.1%, 4.9% 올랐다. 수산물 상승폭은 2023년 8월(6.0%) 이후 1년7개월 만에 최대폭을 기록했다. 농산물 중에서는 무가 86.4% 오르며 전달에 이어 가장 큰 폭의 오름세를 기록했다.
세종=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세종=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