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증가→12월 하락→1월 증가→2월 하락
한 달마다 뒤바뀌는 산업활동 지표
"아직 회복세 강하다고 말할 수 없어"
지난달 산업활동의 축으로 꼽히는 생산, 소매판매, 투자가 '트리플 증가'를 기록했다. 지표만 보면 긍정적인 신호이지만 정부는 세 지표가 오르락내리락하는 불안한 모습을 보여 경기를 낙관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2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 소매판매, 설비투자가 모두 전월보다 증가했다. 세 부문이 동시에 플러스를 기록하는 트리플 증가는 지난해 12월 이후 2개월 만이다. 산업 지표는 최근 4개월간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지난해 11월은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한 달 만에 일제히 증가하더니 올해 1월 다시 '트리플 하락'을 나타냈다.
매달 산업 지표가 뒤바뀌다 보니 정부도 향후 경기 전망에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였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경제 회복 조짐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면서도 "반등이 1개월 만이라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조성중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도 "트리플 증가를 했다고 해서 회복세가 강하다거나 경기회복에 긍정적인 신호가 나타났다고 말씀드릴 수 없다"고 설명했다.
전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0.6% 증가해 미약한 반등을 기록했다. 전산업생산은 지난해 7월 이후 매달 마이너스와 플러스 성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지난해 7월 -0.6%를 기록했던 생산은 8월 1.0%로 돌아섰지만 9월이 되자 다시 -0.3%로 주저앉았다. 10월(0.5%), 11월(-1.2%), 12월(1.8%), 올해 1월(-3.0%)에도 등락을 거듭하며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부문별로 보면 광공업(1.0%) 건설업(1.5%), 서비스업(0.5%) 생산이 늘었다. 광공업은 1차 금속(-4.6%)과 화학제품(-3.0%) 등에서 줄었지만 OLED와 IT용 LCD 생산이 증가하면서 전자부품(9.1%)과 전기장비(6.0%) 등에서 증가했다. 서비스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이 -3.0% 줄어 3년 만에 최대 감소폭을 나타냈지만, 전기차와 휴대폰 등 도소매업(6.5%)이 증가세를 이끌었다.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1.5% 증가해 지난해 3월(1.5%)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인데도 1.5%밖에 되지 않아 그간의 소비 부진을 보여준다. 특히 내구재(13.2%)가 2009년 9월(14.0%) 이후 15년5개월 만에 가장 많이 증가했다. 통상 2월 말에 이뤄지던 전기차 보조금 집행이 올해 정부의 신속집행 기조로 2월 초에 이뤄지면서 승용차 판매가 13.5% 증가한 효과다.
다만 내구재를 뺀 소매판매 지표는 여전히 좋지 않았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2.5% 줄었다. 지난 1월(-1.4%)에 이어 두 달 연속 감소세다. 신발·가방 등 준내구재 역시 1.7% 줄어 1월(-2.2%)에 이어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18.7% 늘었다. 2003년 2월 19.4% 증가한 이후 22년 만의 최대 증가다. 반도체제조용기계 등 기계류(23.3%), 자동차 등 운송장비(7.4%)가 모두 늘었다. 건설기성은 건축(-2.2%)에서 실적이 줄었지만 토목(13.1%)이 늘면서 총 1.5% 증가했다. 다만 건설수주는 공장·창고 등 건축(-9.3%) 요인으로 전년 같은 달보다 6.9% 줄었다.
지금 뜨는 뉴스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5로 전월보다 0.1포인트 소폭 상승했다.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0.4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세종=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세종=이은주 기자 golde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