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과 선거제도 개혁 주장
"이재명 3년 정부는 수용 가능성 높아"
자유로운 당내 경선, 탄핵집해 동원 중단 요구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5일 이재명 대표를 겨냥해 '임기 단축 개헌을 수용하지 못한다면 조기 대선에 불출마할 것'을 주장했다. 사법 리스크 등을 털어내고 차차기를 노리라는 것이다. 당내 자유로운 대선후보 경선과 중도 진보 정당 회복 등을 강조하며 공세 수위를 한껏 높였다.
김 전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국민통합과 국가발전을 위해 임기 2년 정도는 과감히 포기하는 통 큰 정치인이 되길 바란다"며 "임기 2년을 단축하는 3년짜리 대통령은 정말 못하겠다면, 사법 리스크를 다 털고, 법원 재판 다 받고, 개헌 이후 4년 중임제 대선에 출마하길 권한다"고 말했다.
그는 "내전의 원인인 제왕적 대통령제와 양당 체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차기 5년 임기를 다 채우는 것은 ‘내전을 종식시키지 않겠다’는 말과 같은 뜻"이라며 "5년간 내전을 두려워하는 사람도 개헌과 함께 ‘3년 이재명 정부’에 대해서는 수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김 전 의원은 "(이 대표가) 임기 5년을 다 채우겠다고 욕심을 낸다면, 또 다른 불행의 시작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대법원 최종 판결 없이 이 대표가 당선되면 어떻게 되겠냐"며 "국민 절반은 재판을 계속 받으라고 외치고, 국민 절반은 대통령이니까 재판을 중단하라고 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후 정치 갈등 고조 가능성도 경고했다. 그는 "또다시 내전의 연속이 될 것"이라며 "당선 첫날부터 광장은 이재명 대통령 탄핵 시위대로 뒤덮이고, 민주당 정치인은 방탄복을 입고 국회로 출근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김 전 의원은 '내전 종식과 국민통합의 길'로 선거법 개정과 개헌, 자유로운 당내 경선, 탄핵 집회 동원 중단 등도 요구했다.
그는 "탄핵 이후 정치적 과제는 내전을 끝내고 국민통합을 하는 것"이라며 "제왕적인 대통령의 권한을 국회에서 선출한 총리와 나누는 개헌과 양당 정치체제를 다당체제로 바꾸는 선거법 개정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개헌을 꺼낸다고 탄핵이 안 되는 것도 아니고, 그것 때문에 민주당이 선거에서 패배하는 것도 아니다"며 "개헌을 약속하면 책임지는 지도자의 모습이 돋보이고, 대선에서 큰 표 차로 승리하고, 안정적으로 국정 운영을 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기 대선 시 자유로운 당내 경선도 주장했다. 김 전 의원은 "경선이 시작되면 이 대표의 시계만 돌아갈 것이다. 나머지 후보는 비전 하나 제대로 밝히지 못하고, 곧바로 이재명 후보 추대잔치에 들러리를 서야 할 판"이라며 "정권교체를 위해 자유로운 대선 경선을 말해야 한다"고 했다.
탄핵 찬성 집회 동원도 중단할 것을 주장했다. 그는 "맞불을 놓는 것은 오히려 내전을 촉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혹여 정의로운 시민의 집회를 개헌 논의를 중단시키고 사법 리스크를 숨기려는 정치적 계산이 있다면 포기하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지금 뜨는 뉴스
이 외에도 김 전 의원은 "대통령은 유기적 세계관으로 다양성과 다름을 인정하고 포용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며 "국민통합과 정권교체를 이루는 국민의 사다리가 되겠다"고 밝혔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