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도상 연구 측면에서 의의 있어"
1993년 도난당했다가 2020년에 되찾은 '달성 유가사 영산회 괘불도(達城 瑜伽寺 靈山會 掛佛圖)'가 보물로 관리된다. 국가유산청은 각계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보물로 지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조선 후기인 1784년에 '영산회'를 주제로 제작한 불화다. 신체 비례와 표현, 도상 배치, 얼굴 형태 등으로 볼 때 18세기 후반에 활동했던 유성(有城) 화파와 관련이 깊다고 여겨진다. 도난 과정에서 화기(?記·불화 하단에 적힌 제작 관련 내용) 일부가 훼손돼 그림을 그린 승려들은 알 수 없다.
족자 형태의 괘불도는 가로 281.3㎝, 세로 438.3㎝ 크기다.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괘불도의 높이가 10m 안팎인 점을 고려하면 작은 편으로, 당시 사찰의 공간 배치를 고려해 만들었다고 추정된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당시 유가사의 공간 구성과 사찰의 규모를 가늠하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괘불도는 석가여래를 압도적으로 크게 그리고, 비로자나불과 노사나불을 화면 상단에 작게 배치한 삼신불 형식이다. '서산 개심사 영산회 괘불도(1772)'에서도 이 같은 구도가 확인되나 본존이 좌상(坐像)으로 표현된 괘불은 이 작품이 유일하다.
지금 뜨는 뉴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도난 과정에서 그림 일부가 잘려 나가고 색을 다시 칠하기도 했으나 유가사의 역사와 불교 도상 연구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