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뉴욕 맨해튼 60번가 이남 혼잡 통행료
트럼프, 대선 후보 시절부터 "폐지하겠다"
백악관 SNS에 왕관과 "왕이여 영원하라"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지난달부터 실시된 혼잡 통행료 정책이 폐지될 상황에 놓였다. 21일 연합뉴스는 뉴욕타임스(NYT)를 인용해 "1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민주당 소속 캐시 호컬 뉴욕 주지사가 지난달 5일부터 실시한 뉴욕시 맨해튼의 ‘혼잡 통행료’를 폐지하겠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뉴욕 메트로폴리탄교통국(MTA)은 지난달 5일 맨해튼 60번가 이남 도심부에 진입하는 차량을 대상으로 최고 9달러(약 1만 3000원)를 부과하는 프로그램을 개시했다. 이 정책을 추진한 호컬 주지사는 맨해튼의 과도한 교통 체증을 해소하고 긴급 구조대의 정체를 막겠다는 취지를 밝혔으나, 재정적 부담을 준다는 반발도 있었다.
특히 해당 구역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소유한 ‘트럼프타워’도 포함돼 있다. 뉴욕 토박이인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재집권하면 즉시 혼잡통행료를 없앨 것”이라고 외친 바 있다. 그는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혼잡통행료는 죽었다. 맨해튼과 뉴욕 전체가 구원받았다”며 “왕이여 영원하라(Long live the king!)”라고 썼다. 백악관 공식 SNS 계정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금색 왕관을 쓴 사진과 같은 문구를 넣은 게시물이 올라왔다.
연방제 국가인 미국에서 50개 주는 고유의 입법·사법·행정권을 보장받으며 개별 국가와 맞먹는 수준의 높은 독립성을 보장받고 있다. 이로 인해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가 주 정부의 권한을 과도하게 침해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지금 뜨는 뉴스
이를 두고 호컬 주지사는 “미국은 ‘왕’이 다스리는 국가가 아니라 법치국가”라고 비판했다. MTA 역시 연방정부의 명령에 반발하는 소송을 제기하기로 했다. 당초 MTA는 혼잡 통행료 수입을 기반으로 채권을 발행해 150억달러(약 22조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하고, 해당 재원으로 노후화된 지하철 노선을 보수하는 등 대중교통 시스템을 확장할 방침을 세운 바 있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