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기업의 71% 사업구조개편 필요성 인식…실제 추진 기업은 12.6% 불과
자금조달·판로확보 애로, 정보·기술 부족 등으로 사업구조개편 추진 엄두 안나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등 급변하는 글로벌 경영 여건 속에서 기업들의 사업구조 개편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지만, 실제 이를 추진하고 있는 지역기업은 소수에 불과해 사업구조개편 활성화를 위한 특단의 지원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부산상공회의소(회장 양재생)는 12일 지역 매출액 상위 300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부산기업의 사업구조개편 추진실태 조사 보고서’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71%는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사업구조개편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 사업구조개편을 추진하고 있는 기업은 12.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사업구조개편을 계획하고 있거나 향후 추진을 검토하는 기업이 절반에 달해 여건이 조성된다면 사업구조개편을 추진할 기업들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사업구조개편 추진 또는 검토 이유로는 기술개발에 따른 신사업 추진이 29.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그다음으로 영위업종의 경쟁력 약화(28.1%), 새로운 수익원 창출(23.2%), 기존 제품?서비스의 시장 쇠퇴기 진입(11.4%)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추진하고 있거나 검토 중인 사업구조개편 형태에 대해서는 기존 업종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업종 및 품목을 추가하는 경우가 전체의 88.1%를 차지했는데, 이는 사업구조개편 추진에 따른 자금사정 악화, 매출 부진 등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사업구조개편 추진 애로사항으로는 자금조달 곤란이 27.8%로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됐으며, 이어 신규 거래처 및 판로 미확보(25.7%), 인력수급 곤란(14.3%), 신사업 관련 정보?기술 부족(14.3%), 산단 내 업종제한 규제로 인한 업종전환 곤란(8.2%) 등의 순이었다.
자금·세제 및 R&D 지원 등 사업구조개편 지원제도에 대해서는 10곳 중 8곳의 기업이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처럼 인지도가 현저히 낮은 이유는 사업전환 또는 사업재편을 실제로 추진하는 기업이 적어 지원제도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사업구조개편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에 대해서는 신사업 진출, 신제품 연구개발 등에 많은 자금이 소요되는 만큼 정책자금 지원(26.1%)에 대한 응답비중이 가장 높았다. 그다음으로 신사업분야 정보제공(18.1%), R&D 지원(17.0%), 융자 및 세제지원(12.5%), 거래처 발굴 지원(11.2%) 등으로 나타났다.
지금 뜨는 뉴스
부산상공회의소 조사연구팀 관계자는“지역 제조업들이 부가가치를 높이고 트럼프 행정부의 고강도 관세정책을 비롯한 글로벌 경영환경의 급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업구조개편이 시급하다”며 “기업들의 사업재편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과감한 정책자금 수혈과 R&D 역량 지원 등의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영남취재본부 조충현 기자 jchyou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