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경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위원장이 '윤석열 정권 퇴진 1차 총궐기'에서 경찰의 대응이 일반적이지 않았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양 위원장은 19일 오후 서울 중구 민주노총 교육장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9일 열린 집회 당시의 상황과 경찰 대응에 대해 "윤석열 정권의 존립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경찰이 광장을 막고 시민들의 입을 틀어막으려고 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집회를 준비·진행하는 과정과 수사가 진행되는 과정 모두 일반적이지 않았다"며 "그 전부터 집회에 많은 노동자가 모일 것으로 예상됐지만, 경찰이 충분한 공간을 허락해주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집회 행진 경로도 여러 차례 경찰과 조율을 거듭했음에도 불구하고 곳곳에서 경찰이 행사장으로의 진입을 막았다"며 "예정된 경로로 집회하는 과정이 막히면서 경찰과 집회 참여자 간 다툼이 벌어졌다"고 덧붙였다.
또한 양 위원장은 "집회 이후에도 서울경찰청은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참석자들에 대한 구속영장 신청 여부나 지도부에 대한 사전 모의 여부 등을 신속하고 엄중하게 사법처리하겠다고 발표했다"면서 "이는 경찰이 일방적으로 자신들이 계획한 수순대로 상황을 만들어가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비판했다.
한편, 경찰은 지난 9일 서울 중구 숭례문 앞 세종대로에서 열린 민주노총의 '윤석열 정권 퇴진 1차 총궐기' 집회에서 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참가자 11명을 현행범으로 체포했다. 민주노총에 따르면 이 중 10명은 조합원, 1명은 시민이다. 경찰은 이 중 민주노총 조합원 4명에 대해 공무집행방해 및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집시법) 위반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했으나, 법원은 "구속 필요성을 인정하기 어렵다"며 기각했다.
지금 뜨는 뉴스
서울경찰청 공공범죄수사대는 민주노총이 불법집회를 사전에 기획했다고 보고 양 위원장을 포함한 민주노총 집행부 7명도 집시법 위반 혐의로 입건 전 조사(내사) 중이다. 이에 따라 양 위원장도 오는 22일 경찰 소환 조사를 앞두고 있다. 양 위원장은 "경찰에 출석해 민주노총의 견해를 피력할 것"이라고 했다.
심성아 기자 hear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