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정상회의서 "北비핵화 이뤄져야"

윤석열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러시아와 북한의 불법적 군사 협력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더욱 장기화시키고 있어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정면 도전"이라며 "우리는 규범 기반 국제질서를 지켜내기 위한 연대를 한층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참석차 라오스를 순방한 윤 대통령은 동아시아 정상회의(EAS)에 참석해 "한국은 우크라이나 평화연대 이니셔티브를 통해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보, 인도, 재건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할 것"이라며 "이 과정에 국제사회와 긴밀히 공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증대될수록 EAS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EAS는 아세안+3을 확대한 별도 대화 포럼으로 아세안 10개국과 한국,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인도, 미국, 러시아 등이 회원국이다.
윤 대통령은 "미얀마 분쟁 사태는 문제 해결 역량의 시험대로서 즉각 폭력이 중단되고 모든 당사자가 대화를 시작해야 할 것"이라며 "한국 정부는 미얀마의 인도적 상황 개선을 위해 올해 2300만 달러를 지원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중동 지역 무력 충돌 관련해 "인태 지역의 평화, 안보와 직결된 만큼 휴전과 인질 석방 협상이 조속히 타결되고 인도주의적 위기가 해소되도록 우리 모두 힘을 모아야 할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남중국해에서 유엔해양법협약을 포함한 국제법 원칙에 따라 항행과 비행의 자유가 보장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중국과 러시아 대표단이 참석한 회의에서 양국이 민감해하는 러·북 협력, 우크라이나 전쟁, 남중국해 문제를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윤 대통령은 EAS가 대한민국의 자유 통일 비전에 호응해 줄 것을 촉구했다. 윤 대통령은 "오로지 정권의 안위를 위해 주민의 민생과 인권을 탄압하고, 핵으로 같은 민족을 위협하는 북한의 행동은 시간이 지날수록 동북아시아는 물론, 인도·태평양 지역 전체의 평화를 위험에 빠뜨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자유롭고 평화로우며 번영하는 인도·태평양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북한의 비핵화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국제사회가 북한의 핵 개발과 도발을 결코 용인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지금 뜨는 뉴스
또 "저는 8·15 광복절에 '통일 독트린'을 발표해 자유롭고 열린 통일 한반도의 비전을 제시했다"면서 "북한 땅에 자유의 기운을 불어넣고 북한 주민들에게 바깥 세상을 널리 알리며, 한반도의 자유 평화 통일을 모색해 나가는 길에 관심과 지지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