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자 10명 중 7명 "자살위험 시 혼자 생각"
가족 과반수, 환자에게 폭력 당하기도
보건복지부 "정신응급대응체계 지속 강화"
정신질환자를 돌보는 가족 5명 중 1명은 자살을 생각해본 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2일 '정신질환자 및 가족지원 서비스 확충을 위한 실태조사'를 처음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정신질환자와 가족의 상황 및 수요를 파악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발굴하고자 하는 취지로 지난해 9월부터 올해 4월까지 약 8개월간 진행됐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신질환자 1078명과 그 가족 995명이 응답에 참여했다.
조사에 따르면 정신질환자는 정신건강뿐 아니라 신체 건강의 관리도 미흡해 차별, 폭력에 노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신체 건강에 대한 인식, 만성질환 경험 등 건강 상태가 전체 국민 대비 취약했다.
특히 자살위험 시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기보다 혼자 생각하는 경우가 77.1%로 가장 높았고, 전문기관에 도움 요청이 20.6%, 가족에게 도움 요청이 19.3%로 뒤를 이었다.
또한 응답한 정신질환자의 69.6%는 지역사회 거주가 가능하다고 생각했지만, 60.1%가 차별을 경험했으며 39.1%는 가족 또는 주변인들로부터 괴롭힘이나 폭력을 당하기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질환자의 가족 역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응답자 중 61.7%가 환자를 돌보는 부담이 크다고 답했고, 57.5%는 환자에게 폭력을 당한 경험도 있었다. 더불어 최근 1년간 자살을 생각한 응답자의 비율은 20.5%였으며, 주원인은 정신질환자에 대한 양육 및 수발, 돌봄 등에 대한 부담인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정신질환자와 가족에게 수요가 높은 서비스도 파악됐다. 이들은 정신건강 및 장애인 지원 서비스의 경우 정신건강복지센터 이용을, 신체 건강 지원 서비스는 치료비 지원, 정기적 건강검진을 선호했다.
고용지원 서비스의 경우 직장 편의 제공, 정보 제공 및 취업 알선을 원한다는 응답이 높았고, 자립 지원 서비스는 기초생활보장급여 또는 장애수당 신청 지원을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 뜨는 뉴스
이형훈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가족과 정신질환자의 신속한 조력을 위한 위기개입팀 운영 등 정신응급대응체계를 지속해서 강화하고, 내년부터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자립 지원을 위한 주거지원 서비스를 시작하는 등 정신질환자와 가족의 삶과 환경이 개선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정예원 인턴기자 ywju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