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경수 복권' 엇갈린 여야…李 "여러 경로로 요청" 與 "부탁 없었다"

시계아이콘01분 1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여권 내부서도 복권 두고 이견 노출
한동훈 반대에 용산 "대통령 권한"

'김경수 복권' 엇갈린 여야…李 "여러 경로로 요청" 與 "부탁 없었다" 출국하는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지난 6월14일 인천공항에서 지인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의 광복절 복권과 관련한 정치권 안팎의 파장이 지속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후보 측은 '여러 경로로 윤 대통령에게 김 전 지사 복권을 요청했다'라고 밝혔지만 여권에선 "복권은 예정된 수순"으로 "부탁받은 적 없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조만간 김 전 지사가 포함된 광복절 특사·복권안을 재가할 전망이다.


11일 여권 관계자는 김 전 지사 복권에 대해 "2022년 12월 김 전 지사의 잔형을 사면하기로 결정했다"며 "올해 4월 총선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차원에서 복권을 분리하기로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지사 복권은 이미 잔형 사면 당시 잠정 결정됐던 것이며, 이 때문에 이번 법무부 사면심사위원회에서도 김 전 지사 복권에는 이견이 없었다는 게 이 관계자 설명이다.


이 후보가 김 전 지사 복권을 요청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부탁받은 바 없다"고 했다. 앞서 이 후보는 전날 부천체육관에서 열린 '8·18 전당대회' 경기 경선을 마친 뒤 기자들에게 "직간접적으로 여러 가지 루트를 통해 제가 (윤 대통령에게 김 전 지사) 복권을 요청한 바 있다"고 말했다. 여권 관계자는 이번 사면심사위원회가 개최될 때쯤 민주당 측에서 국민의힘에 복권 관련 얘기를 한 것은 맞는 것 같다며 "그것이 (결론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고 했다. 이 후보 측이 어떤 루트로 요청했는지 불분명하고, 요청했더라도 영향은 주지 않았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김 전 지사는 '드루킹' 김동원씨 일당과 공모해 2016년 11월부터 문재인 전 대통령 당선을 위해 여론을 조작한 혐의로 2021년 7월 대법원에서 징역 2년을 확정받았다. 윤석열 정부 들어서인 2022년 12월 신년 특별사면에서 5개월여의 잔여 형 집행을 면제받았으나 복권은 되지 않았다. 이에 김 전 지사는 2027년 12월까지 피선거권이 제한돼 있다.


'김경수 복권' 엇갈린 여야…李 "여러 경로로 요청" 與 "부탁 없었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지난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김 전 지사의 복권을 둘러싸고 여당과 대통령실 사이 입장도 다소 엇갈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김 전 지사 복권에 반대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 대통령실이 "사면, 복권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라고 대응하면서다. 대통령실은 "광복절 특별사면 및 복권 절차는 진행 중이고 대상자가 확정되지 않았다"는 입장이지만 한 전 대표의 반대에 대해선 다소 민감하게 반응하는 모습이다.



한편 이번 특별사면·복권 대상에는 박근혜 정부 조윤선·현기환 전 청와대 정무수석과 안종범 전 정책조정수석, 이명박 정부 당시 국가정보원 원장이었던 원세훈 전 원장 등도 포함됐다. 여름휴가를 마치고 업무에 복귀한 윤 대통령은 최종 사면·복권 명단을 검토해 재가할 예정이다. 이후 13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대상이 확정된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