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중앙대 김재민 교수팀, OLED 소자 내부 발광층 예측하는 초고성능 AI 모델 개발

시계아이콘00분 3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중앙대학교는 김재민 첨단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초고성능 AI 모델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중앙대 김재민 교수팀, OLED 소자 내부 발광층 예측하는 초고성능 AI 모델 개발 (왼쪽부터) 임준섭 박사과정생, 김재민 교수, 이준엽 교수[사진제공=중앙대학교]
AD

연구팀이 개발한 AI 모델은 청색 유기발광소자(OLED) 소자를 분석해 내부 발광층의 핵심 물성을 예측하는 기술로, 향후 OLED 소재·소자 개발을 가속해 디스플레이 초격차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성능 AI 모델은 과도 전계 발광 소광 곡선만으로 발광재료의 핵심 성능과 성질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발광층의 광 발광 특성, 올레드의 전계 발광 특성에 대한 이해 없이도 예측이 가능해 올레드 소재·소자 개발을 가속화 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의 의의는 AI와 응용 물리를 접목한 비파괴 방식을 활용해 소자 속 재료의 물성을 높은 정확도로 추출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는 데 있다"며 "우리나라의 디스플레이 초격차를 위한 원천 연구를 선도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김재민 교수 연구팀과 성균관대 화학공학부 이준엽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진행했다. 연구 결과는 재료과학 분야의 세계적인 국제학술지 'Advanced Materials'에 게재됐다.




이서희 기자 daw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