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1인 가구 78.8%는 고독사 가능성…50대 이상 특히 위험

시계아이콘01분 1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복지부·보사연, 고독사 실태조사 발표
여성보다 남성, 중장년층 특히 위험도 높아

혼자 사는 사람 10명 중 8명이 이른바 ‘고독사’ 위험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그중에서도 남성이 여성보다 고독사 가능성이 높았으며, 연령대별로는 50대가 가장 높았다.


28일 보건복지부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이 1인 가구 9471명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담은 ‘2022년 고독사 예방 실태조사 연구’(고숙자 외) 보고서를 공개했다.


연구진은 ▲실패·상실감 누적 ▲고립적 일상 ▲ 사회적 고립 ▲이동성 높은 생애 ▲돌봄과 지원 중단 등 5가지 지표로 고립 정도를 파악해 고독사 위험 정도를 평가했다.


1인 가구 78.8%는 고독사 가능성…50대 이상 특히 위험 [이미지출처=픽사베이]
AD

이별, 자녀사망, 실직, 실패 등의 경험이 많고 식사 횟수, 외출 횟수, 지인 소통 횟수 등이 적으면 위험도에서 높은 점수를 줬고, 복지 서비스나 돌봄(간병) 서비스 중단을 경험하거나 이사 횟수가 많을 때는 위험도가 큰 것으로 봤다.


그 결과 1인 가구 중에서도 2.6%는 고독사 고위험군으로, 19.8%는 고독사 중위험군으로 평가됐다. 저위험군은 56.4%였다. 저위험군에서 고위험군까지 고독사 위험군은 모두 78.8%이었고, 이중 저위험군을 제외한 중·고위험군은 22.4%였다. 고독사 위험군에 속하지 않은 경우는 21.2%에 불과했다.


중·고위험군에 대한 심층조사 결과를 보면 남성이 60.9%로 여성보다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24.6%로 가장 높았고 60대가 23.4%, 40대가 16.2%로 뒤를 이었다. 임시직과 일용직인 경우가 50.7%로 절반을 넘었고, 가구소득이 200만원 이하인 저소득층은 63%를 차지했다.


또 혼자 거주한 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가 45.5%였으며 남성의 91.6%와 여성의 84.3%는 공공서비스를 받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19.7%가 지난 1년간 입원한 경험이 있었고, 4.0%는 혼자서 일상생활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지난 1년간 자살을 계획한 적 있다는 응답은 18.5%였고, 자살을 시도한 적 있다고 답한 경우도 6.4%나 됐다.


1인 가구 78.8%는 고독사 가능성…50대 이상 특히 위험 [이미지출처=연합뉴스]

보고서는 “사회적 고립 예방을 위해 조기발굴 체계를 구축하고 적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적극적인 사각지대 발굴 체계를 만들고 지역에서 고립의 문제가 있거나 고립에 이르기 쉬운 사람을 적극적으로 찾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복지부의 고독사 실태조사에 따르면 고독사 수는 2017년 2412명, 2018년 3048명, 2019년 2949명, 2020년 3279명, 2021년 3378명 등으로 5년간 평균 8.8% 증가했다. 특히 남성은 연평균 증가세가 10.0%에 달했고, 연령대별로는 60대가 같은 기간 한 해 평균 18.5%씩 늘어났다.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고독사는 가족, 친척 등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사회적 고립상태로 생활하던 사람이 자살·병사 등으로 임종을 맞고, 시신이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 발견되는 것을 뜻한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