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韓 연구진이 '오류없는 양자컴퓨터' 길 찾았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삼각격자 구조 자성 물질서 세계 최초 양자상태 발견
박제근 서울대 교수-김성진 이화여대 교수 연구팀

우리나라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삼각격자 구조 자성 반데르발스 물질에서 새로운 양자상태를 발견했다. 오류 없는 양자컴퓨터 구현을 위해 한 걸음 더 나아갔다는 평가다.

韓 연구진이 '오류없는 양자컴퓨터' 길 찾았다
AD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박제근 서울대 교수·김성진 이화여대 교수 연구팀이 28일(현지 시각) 이같은 내용의 논문을 국제학술지 '네이처 피직스(Nature Physics)'에 게재했다고 29일 밝혔다. (논문명 Bond-dependent anisotropy and magnon decay in cobalt-based Ktiaev triangular antiferromagnet)


키타에프 모델은 벌집 구조를 가지는 물질에서 나타나는 양자 현상으로, 오류가 없는 양자컴퓨터를 구현할 수 있는 양자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동안 국내·외 많은 연구자들은 벌집 구조 물질을 이용해 키타에프 모델을 구현하는 데에 그쳤다.


벌집 구조가 아닌 삼각격자 구조를 가진 물질이 양자상태를 가질 경우 다양한 양자 현상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은 이론적으로만 알려져 있을 뿐 실제 물질에서 구현된 적은 없었다.


연구팀은 자성 물질에 대해 연구하던 중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물질 니켈(원소기호: Ni)을 코발트(원소기호: Co)로 치환할 경우, 키타에프 모델이 구현되는 여러 가지 조건을 만족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연구팀이 사용한 아이오딘화 코발트(CoI2)는 약 40년 전에 합성이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졌지만 수분에 매우 취약해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연구팀은 자성물질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왔기 때문에, 이 물질을 보다 안정적인 상태에서 분석하는 것이 가능했다. 연구팀이 이론적으로 밝혀낸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일본 양성자가속기복합연구센터(J-PARC) 중성자 시설을 이용해 비탄성 중성자 산란실험과 스핀파 측정을 실시하였고, 실험결과는 미국 연구진과 공동연구를 통해 분석했다.



이는 2차원 삼각격자에서 키타에프 모델을 실험적으로 구현한 세계 최초의 결과이며, 한·미·일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양자물질에서 세계적인 연구성과를 달성한 것이다. 양자 컴퓨터에 활용할 수 있는 키타에프 모델을 2차원 자성 반데르발스 삼각격자 물질에서 구현함으로써 응집물질물리 및 양자 정보 분야에서 향후 높은 활용도가 기대된다.



박 교수는 “2차원 물질에서 양자 얽힘이 있는 양자상태를 발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우리 연구진이 개척해서 세계적으로 중요한 연구 분야로 자리매김한 자성 반데르발스 물질 분야에서 양자 얽힘이 중요한 양자상태를 발견, 또다시 선도적인 연구 성과를 내서 이 분야를 주도했다"고 설명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