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외환위기 20년]①외환위기는 정말 국민들의 '과소비' 때문에 일어났을까?

시계아이콘01분 30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외환위기 20년]①외환위기는 정말 국민들의 '과소비' 때문에 일어났을까? 1997년 당시 국제통화기금(IMF)과의 협상타결 관련 기자회견을 하는 당시 미셸 캉드쉬 IMF 총재(오른쪽)와 임창렬 부총리(왼쪽) 모습.(사진=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21일은 우리나라가 외환위기로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을 신청한지 20년이 되는 날이다. 오늘날 우리나라가 안고 있는 거의 모든 사회문제의 시발점이라고까지 일컬어지며 2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아주 큰 트라우마로 남아있다.

1997년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여러 나라들부터 시작된 외환위기가 동아시아 전역으로 퍼져 생긴 문제라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아시아 금융위기(Asian Financial Crisis)'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한 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수출주도형 시스템으로 국가경제가 운영되던 아시아 개발도상국 대부분이 연쇄적으로 겪은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2000년대 초반 등장한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과서에서는 국민들의 '과소비'를 주요 요인으로 잡고 이후 모두가 근검절약하며 금모으기 운동에 동참해서 극복했다는 식의 교육이 성행했다. 지난해에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이런 내용을 담은 초등학교 게시판의 교육자료 사진이 나돌면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외환위기 20년]①외환위기는 정말 국민들의 '과소비' 때문에 일어났을까? 지난해 외환위기 원인과 관련해 초등학교 교육자료 게시판에 붙은 사진이 논란이 되기도 했다.(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정말로 국민들의 과소비가 외환위기를 몰고 왔던 것일까? 이를 증명할 객관적 지표는 전혀 없다. 과소비가 국가 외환보유고를 결딴 낼 정도로 발생했다면 앞서 소비자물가가 엄청나게 뛰었겠지만 물가상승률은 외환위기 이전인 1995년 4.5%, 이듬해 4.9%, 1997년에도 4.4%에 그쳤다. 오히려 외환위기 이후인 1998년에 물가상승률이 7.5%를 기록했고 이는 원화 환율 급락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 영향이 컸다. 가계저축률도 높았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에도 우리나라의 가계저축률은 23.2%로 현재의 거의 10배에 달했다. 국민들이 무분별하게 과소비했다는 증거는 좀처럼 찾아볼 수가 없다.


오늘날에는 국민들의 과소비같은 요인보다는 당시 수출주도형 아시아 개발도상국 경제의 구조적인 문제를 원인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즉, 외자를 많이 유치하고 자국화폐 가치는 평가절하시킨 상황에서 대량의 수출을 통한 무역수지 흑자로 단기간에 경제발전을 이룩한 시스템 자체의 한계였다는 것. 이 체제는 잘 유지만 되면 자기자본이 적은 가난한 국가들이 외자를 동원해 자국 생산기술을 올리며 이렇게 번 돈을 다시 R&D에 투입하는 선순환체계를 만들 수도 있지만, 투기자본에 의해 한꺼번에 해외자본이 빠져나가면 외환위기가 일어날 위험성이 높은 체제였다.


당시 대기업들의 부실화도 심각했다. 1998년 4월, 공정거래위원회가 총 자산 기준으로 30대 기업집단을 지정해 발표했을 때, 이들 기업들의 평균 부채비율은 자기자본 대비 518%를 넘었다. 일부 기업들의 경우에는 부채비율이 1000%를 넘어서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소위 '관치금융'으로 이 부실기업들과 연계된 시중은행들로 위기가 번지는 것은 시간문제였다.


위기 극복의 단초가 됐다고 보통 배워온 '금모으기 운동'도 대외적으로 한국 국민들의 외환위기 극복 의지를 보여준 사건은 맞지만, 정확히 이걸로 외환위기를 극복한 것은 아니었다. 금모으기 운동은 당시 350만명 이상이 참여해 220톤(t) 이상의 금을 모았지만 당시 이 금을 수출해 벌어들인 돈은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의 10% 정도에 불과했다. 실제 외환위기 극복은 이 구제금융의 대가로 IMF가 요구한 살인적인 구조개혁과 여기서 발생한 대량실업과 각종 사회문제를 거치면서 이뤄졌고 그 여파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결국 외환위기는 거시경제의 구조적 문제와 기업부실, 외환정책, 동아시아 전반의 외환위기 등이 겹쳐서 일어난, 여러 요인들이 함께 작용해 일어난 사건이었다. 단순히 초등학생들에게 '과소비'의 위험성에 대한 예시로 쓰기엔 아주 복잡한 사건이었던 셈이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