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삼성 반도체 1위 눈앞] 도쿄구상·D램대전…위기 때마다 투자 승부수

시계아이콘02분 10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이병철 회장, 1983년 재계 반대 무릅쓰고 '2·8 도쿄구상'
-1984년 업계 불황 극복, 1990년대 D램 생존게임서 살아남아
-꿈의 '1M D램' 독자개발부터 낸드플래시 시장까지 섭렵
-세계시장 42위로 출발, 34년만에 세계 1위 도약 발판 마련

[삼성 반도체 1위 눈앞] 도쿄구상·D램대전…위기 때마다 투자 승부수 1987년8월 삼성 반도체 3라인 착공식에 참석해 조감도를 살펴보고 있는 이병철 삼성 선대 회장.
AD


[아시아경제 강희종 기자, 원다라 기자] 삼성전자가 인텔의 반도체 패권을 무너뜨리고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기까지는 이병철 선대 회장부터 이건희 회장, 이재용 부회장까지 3대째 이어져온 '반도체 왕국'의 오랜 염원이 작용했다. 이병철 선대 회장의 '도쿄 구상'으로 시작된 반도체 도전은 지난 34년간 위기와 고비 때마다 불굴의 집념과 투지로 극적인 성장 드라마를 연출했다. 무엇보다 '불황일 때 투자한다'는 경영진의 굳은 신념은 '초기술 격차'를 유지하며 명실상부한 세계 최고의 반도체 기업으로 성장하는 쾌거를 낳았다.

◆삼성전자 반도체 신화를 가능케 한 '도쿄 구상'=이병철 삼성그룹 선대 회장이 반도체 산업 진출을 결심했던 1983년 한국은 불모지나 다름없었다. 주위의 냉소에도 불구하고 이병철 선대 회장은 "앞으로 한국을 먹여 살릴 수 있는 산업은 반도체밖에 없다"며 고집을 꺾지 않았다. 그는 당시 한 신문 기고에서 "저가품 대량 수출에 의한 국력 신장은 한계에 이르렀다. 삼성은 부가가치가 높은 첨단 반도체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고 반도체 진출 이유를 역설했다.


이보다 한 달 전인 2월8일 이 선대 회장은 일본에서 그룹 차원의 반도체 사업 진출을 결심했다. 당시 일본 미쓰비시연구소는 삼성 반도체가 실패할 것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낼 정도로 주위의 시각은 부정적이었다. 삼성은 마이크론과 64K D램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지만 마이크론은 기술이전에 소극적이었다. 관련 기술자들은 연구소 대신 인근 모텔에서 설계도면을 바탕으로 사실상 '독학'해야 했다. 결국 독자 개발하기로 한 삼성은 309가지 반도체 공정 프로세스를 6개월 만에 독자기술로 습득하는 성과를 거뒀다.

[삼성 반도체 1위 눈앞] 도쿄구상·D램대전…위기 때마다 투자 승부수 반도체 30주년 행사에 참석한 이건희 회장이 사인판에 '새로운 신화 창조'라는 글을 적고 있다.

◆반도체 신화, 두 번의 큰 위기=삼성이 메모리 반도체 개발을 마치고 본격 수출하기 시작했던 1984년 메모리시장에는 불황의 그림자가 짙어지고 있었다. 1984년 4달러 수준이던 64K D램 가격은 폭락을 거듭해 1985년 중반에 30센트까지 떨어졌다. 제품을 하나 팔 때마다 1달러40센트를 손해 보는 악순환이 이어졌다. 당시 인텔은 삼성의 1M D램 개발이 한창이던 1985~1986년 백기를 들고 D램 사업 철수를 선언하기도 했다. 심지어 삼성반도체로 발령이 나면 회사를 퇴직하겠다는 직원도 있었다.


반도체 가격 폭락으로 손실이 이어지는 데다 반도체 사업을 추진해온 이병철 선대 회장이 영면하자 1987년 삼성 중역들은 신임 이건희 회장에게 반도체 사업을 포기할 것을 제안했다. 하지만 이 회장은 반도체 사업 추진을 강행했다. 결국 이듬해인 1988년 반도체 호황이 찾아왔고 삼성은 그동안 투자했던 재원 이상을 반도체 사업에서 벌어들이게 됐다.


2차 위기는 1990년대 'D램 대전'이었다. 당시 미국 인텔을 포함해 일본 NEC와 도시바, 독일 인피니언 등 기라성 같은 업체가 D램시장에서 치열하게 경쟁했다. 1994년 세계 D램 업체 수는 25개였지만 10년 뒤인 2002년에는 12개, 또다시 10년 뒤인 2012년에는 3개로 줄어들었다. 30년에 걸친 D램 대전에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3사만 살아남게 됐다. 업계 관계자는 "치킨게임이 두려워 경쟁을 피하고 투자를 보류했다면 아마 반도체 역사에서 삼성이라는 이름은 사라졌을 것"이라며 "위기 때 오히려 투자를 강화한 경영진의 판단이 주효했다"고 말했다.

[삼성 반도체 1위 눈앞] 도쿄구상·D램대전…위기 때마다 투자 승부수


◆42위에서 1위까지=삼성이 1984년 64K D램을 본격 수출하기 시작한 이듬해인 1985년 삼성전자 반도체 매출액은 9500만달러로 세계시장 42위 수준이었다. 하지만 삼성은 1986년 당시로선 '꿈의 반도체'로 여기던 1M D램의 설계부터 공정 기술까지 자체 개발에 성공한 이후 기술 개발을 거듭했다. 삼성은 D램을 대체할 차세대 반도체에도 주목하기 시작했다. 당시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로 주목받던 것은 전원을 꺼도 데이터가 보존되는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였다. 인텔과 AMD 등 세계 반도체 업계는 노어플래시에 집중했지만 삼성은 더욱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낸드 플래시를 선택했다.


그 결과 삼성 반도체는 1992년 세계 최초 64M D램 개발, 1993년 세계 메모리시장 1위 석권, 2001년 낸드플래시메모리 세계 1위 달성 등의 기록을 이어갔다. 2002년 삼성전자는 낸드플래시시장까지 섭렵하며 인텔에 이어 세계 반도체 2위로 올라섰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2015년 반도체 산업에 대한 불투명한 전망속에서도 15조원을 들여 평택에 반도체 공장을 신설하겠다고 발표했다. 그 결실은 올해 하반기 낸드 플래시를 양산하면서 본격적으로 나타날 전망이다. 올해 1분기 삼성전자는 반도체 사업 부문에서만 매출 15조6600억원과 영업이익 6조3100억원을 달성하며 1위 인텔 추월을 눈앞에 두고 있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원다라 기자 supermo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