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노인 추락·낙상 입원율, 2013년 인구 10만명당 2336명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낙상은 노인에게 치명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추락과 낙상에 의한 입원율은 2013년 인구 10만 명당 2336명으로 조사됐습니다. 남자노인이 1620명, 여자노인이 2842명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1.8배 높았습니다. 75세 이상 노인에서는 추락과 낙상에 의한 입원율이 인구 10만 명당 3288명으로 65~74세 노인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았습니다.
질병관리본부는 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65세 이상 노인의 추락 및 낙상 입원환자의 역학적 특성'을 내놓았습니다. 2004~2013년 퇴원손상심층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한 내용입니다.
건강보험 상 고령자 진료비는 전체 진료비 중 36.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고령자 1인당 평균 진료비는 343만 원으로 전체 1인당 평균진료비 115만 원보다 약 3배가 많습니다.
노인 낙상에 의한 직접 의료비는 미국의 경우 연간 310억 달러(약 35조5000억)에 이릅니다. 노인 전체 병원비의 약 3분의2를 차지할 만큼 많습니다. 노인에 있어 낙상은 심각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손상이라는 것을 말해줍니다. 노인 손상은 의료비 지출을 증가시켜 사회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높은 손상률은 우리사회의 이중적 부담으로 작용하는 만큼 적극적 손상 예방 정책이 필요합니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추락과 낙상에 의한 손상 양상은 골절이 75%를 차지했습니다. 내부기관 손상(10.8%), 염좌와 긴장(5%), 타박상(4.5%) 순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성별로 보면 남자에서는 골절(59%), 내부기관 손상이 20.7%로 많았고 여자에서는 골절이 80.8%로 특히 많았습니다.
75세 이상 노인에서의 손상 양상은 차이를 보였습니다. 남자노인에서는 내부기관 손상이 18.4%로 여자노인보다 12% 포인트 많았고 여자노인에서는 골절이 82%를 차지해 남자노인보다 골절이 20% 포인트 많았습니다. 이는 독립적 생활을 심각하게 제한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해 줍니다. 가족 의존성 증가, 신체 기능의 저하, 사회적 고립, 우울증과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집니다.
2013년 65세 이상 노인의 추락과 낙상이 발생한 장소는 2명중 1명 정도(53%)가 집, 길·간선도로, 물·바다·야외로 나타났습니다. 미국에서도 노인낙상의 발생장소 56%가 정원, 동네길, 공중시설과 같은 집 밖으로 조사됐는데 우리나라와 비슷했습니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에서의 추락과 낙상은 10명중 3명(30.7%)은 겨울(12월~2월)철에 발생했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가을(9~11월) 24%, 여름(6월~8월) 22.8%, 봄(3월~5월) 22.6% 순이었습니다.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해 전체 노인인구는 전체 인구의 14%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가볍게 주저 않거나' '살짝 넘어졌다고' 생각해 이를 방치했다가는 뇌출혈, 고관절 골절, 각종 합병증의 발병으로 이어집니다.
최근 이런 추세에 따라 국가적 대응 프로그램 마련이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노인의 추락과 낙상 예방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낙상 예방 중재 프로그램을 수집해 구체적 지역사회 예방 중재 프로그램을 의료인, 공중보건 전문가, 관계자들에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STEADI(Stopping Elderly Accidents, Deaths & Injuries) 프로그램을 통해 낙상의 저위험, 중위험, 고위험군을 판별하고 중재 가능한 위험요인 파악 후 효과적 중재방법을 제시합니다.
미국에서 이를 도입한 의료팀은 지난 5년 동안 600만 명의 환자를 선별하고 100만 명 이상의 낙상을 예방해 35억 달러 이상의 직접 의료비용을 절감시켰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보건복지부 노인복지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안락한 노후생활을 위한 안전생활 가이드 만들기'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찾아가는 낙상사고 예방 및 생활응급처치 교육'도 실시하고 있습니다.
김영택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만성질환관리과장은 "노인 낙상 예방을 위한 근거기반의 안전가이드라인과 포스터를 개발해 손상 발생을 감소시키고 후유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정책 수립의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지역사회와 연계한 손상예방 프로그램 개발, 실행 등 모니터링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