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혁신 목소리 커진 與…친박 지도부·당명까지 바꿀까

시계아이콘01분 33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정병국 등 비박, 지도부 퇴진론 계속…일각선 "박근혜 색깔 빼자"

혁신 목소리 커진 與…친박 지도부·당명까지 바꿀까
AD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최순실 국정개입 파문'을 계기로 새누리당의 대대적인 쇄신과 변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다. 국민적 신뢰를 되찾기 위해 지도부 교체, 당명 개정, 박근혜 대통령의 탈당 등 사실상 재창당 수순을 밟자는 요구가 봇물을 이루고 있다.

새누리당 내 비박계·중립 성향 등 과반에 가까운 의원들이 당의 새 출발을 위한 첫 단계는 친박계가 주축이 된 현 지도부 교체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친박 지도부가 물러나고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정국 수습 및 당 쇄신을 위한 작업에 착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순실 파문으로 새누리당이 출범 후 최악의 위기를 맞으면서 친박 책임론이 제기되고, '친박 체제가 한계에 이르렀다'는 평가가 힘을 받고 있다.


더군다나 박 대통령이 2일 단행한 내각 개편이 야당뿐만 아니라 여당과도 사진 협의를 거치지 않아 당 지도부의 입지는 더욱 좁아질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이날 새누리당 최고·중진 연석간담회가 진행되던 도중 신임 국무총리에 참여정부 정책실장을 지낸 김병준 교수를 내정하는 등 개각을 전격 발표했다. 이에 정병국 의원은 "우리가 백날 떠들어 봐도 소용이 없는 것 아니냐"며 "대통령에게 우리가 중지를 모아 말하려 하는데, 이런 상황이라고 하면 회의를 할 필요성이 없다"고 일갈했다.

또한 정 의원은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은 공동운명체인 집권여당과 상의조차 안 하고 거국중립내각을 사실상 포기했다"며 "최순실 사태에 대한 국민적 의혹을 해소하기는커녕 국정운영 파트너로조차 인정받지 못하는 작금의 사태에 당심과 민심은 떠날 수 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김용태 의원도 SNS를 통해 "최순실 구속영장이 청구되고 안종범 전 수석이 검찰 출두하는 날에 국회와는 한 번도 협의없이 총리를 지명하는가"라고 쓴소리를 냈다.

혁신 목소리 커진 與…친박 지도부·당명까지 바꿀까 정병국 새누리당 의원


다만 '친박 몰아내기식'의 지도부 교체는 계파 투쟁으로 비춰질 수 있는 점을 경계하고 있다. 이른바 '명분 있는 퇴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김정훈 의원은 당 대표와 원내대표, 서청원·김무성 의원 등으로 구성된 협의체를 통해 비대위 체제 전환을 이끌고 계파 충돌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향후에는 당명 개정을 위한 논의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다. 2011년 10·26 재보궐 선거 패배 이후 당명을 한나라당에서 새누리당으로 개정할 당시 "종교적 색채가 강하다"고 거부감을 표시한 의원들이 있었다. 최근 이러한 당명이 최순실 파문과 연계돼 입방아에 오르는 상황인 만큼 당명 교체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또한 차기 지도부는 비주류 중심으로 꾸려져 '박근혜 색깔'을 빼내고 당청관계 재정립을 비롯해 중도보수를 지향하는 새로운 정당의 출발을 알려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철저한 수사를 위한 대통령의 탈당과 대국민 사과 등의 요구도 쇄도하고 있다.


여권의 잠재적 대권 후보들을 비롯해 일부 친박 의원들도 새누리당의 혁신 필요성에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는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새누리당이 사실상 '박근혜당'으로 활동해왔다"며 "당이 근본적으로 재창당 수준의 새로운 환골탈태를 하지 않고는 국민들 속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밝혔다.


친박 중진인 정우택 새누리당 의원도 "'당이 앞으로는 해체 수준까지 가야 하지 않나' '새롭게 판을 짜야 하지 않을까' 라는 이야기가 들려오고 있다"고 전했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