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송도 LNG기지 증설 갈등 재점화되나…연수구 “증설공사 불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7초

연수구 “주민의견 수렴안된 공사 불허”…가스공사 2018년까지 3기 증설 계획, 오는 8월 착공 차질

[아시아경제 박혜숙 기자] 인천 송도 LNG(액화천연가스) 생산기지 증설과 관련, 한국가스공사가 오는 8월 착공을 계획중이나 공사 허가권을 갖고있는 관할 자치단체가 반대 입장을 공식화하면서 갈등이 재점화될 전망이다.


이재호 인천 연수구청장은 21일 기자회견을 열고 “송도기지에서 2005년 가스누출 사고 이후 불안감이 여전한 상황에서 한국가스공사가 충분한 주민의견 수렴없이 LNG기지 증설을 추진하고 있다”며 “철저한 안전대책 마련과 실질적인 주민합의 없이 LNG기지 증설을 절대 허가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 구청장은 “LNG 탱크시설은 송도국제도시와 불과 3km밖에 떨어지지 않아 연수구민들이 크게 불안해하고 있다”며 “가스공사는 공사 착공에 앞서 위험시설 증설 계획에 주민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연수구는 LNG기지 증설공사와 관련한 건축물·공작물 축조 공사의 허가 권한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날 이 구청장이 반대입장을 분명히함으로써 증설공사는 상당기간 지연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연수구의 이같은 결정은 지난해 8월 인천시 도시계획위원회가 증설안을 조건부 가결한 것과는 정반대이다.


당시 시 도시계획위는 지역주민들의 반대에도 불구 기존 안전성평가용역 결과보다 강화된 안전기준 적용, 도시가스사업법에 따른 LNG기지 주변지역에 대한 충분한 보상 지원, 지역주민 의견 적극 수렴 등을 조건부로 토지형질변경안을 통과시켰다.


이후 가스공사는 같은해 10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인천 LNG 생산기지 증설을 위한 실시계획인가를 받고 오는 8월 착공을 앞두고 있다. 이 공사는 사업비 5600억원을 들여 2018년까지 연수구 송도동 25만5353㎡에 20만㎘ 규모의 LNG 저장탱크 3기, 기화송출설비, 변전소 등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실질적인 공사 허가권이 있는 연수구가 증설을 반대하고 나서면서 착공이 계획대로 추진될 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게다가 그동안 안전성과 추가증설의 타당성에 문제를 제기해온 송도지역 주민들과 시민단체들이 이번 연수구의 공식 입장 표명을 계기로 LNG 생산기지 증설 반대에 더욱 큰 목소리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송도입주자연합회 등 송도 주민들은 LNG 기지가 증설되면 안전한 도시, 친환경 국제도시를 지향하는 송도에 위험시설이 더욱 늘어나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라며 증설 계획을 철회할 것을 촉구해왔다. 특히 지난해 시 도시계획위의 조건부 가결 이후 가스공사와 주민들 간에 협의가 전혀 안되고 있다는 데 불만을 갖고 있다.


또 인천경실련 등 환경·시민단체들은 수도권 주민들이 함께 LNG 가스 혜택을 받고 있는데 위험부담은 왜 인천시민만 떠안아야 하냐며 안전성이 검증 안된 상태에서 위험시설이 인천에 집중된 데 따른 홀대론을 제기하고 있다.


인천경실련에 따르면 2013년도 기준으로 LNG 인천기지가 인천시와 서울·경기도에 송출하는 가스양은 각각 881만6000톤(62.7%)과 525만5000톤(37.7%)으로 인천시 송출량의 대부분은 발전소 발전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애초 인천LNG생산기지 사업은 10만㎘ 규모의 LNG저장탱크 3기만을 건설(1992년)하기로 정부와 한국가스공사가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현재 인천에서 10만㎘급 탱크 10기, 14만㎘급 탱크 2기, 20만㎘급 탱크 8기 등 총 20기가 운영중이다.


가스공사가 계획대로 증설이 완료되면 LNG 저장탱크는 모두 23기로 늘어나고 전체 저장용량은 현재보다 21% 늘어나 약 348만㎘에 이를 전망이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