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지난해 정부가 앞장서 줄이겠다던 서비스업 규제가 1년 새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지난해 3월 경제 규제를 연내 10% 감축하겠다고 발표했지만, 1년이 지난 지금 서비스업 규제는 되레 13.5% 늘어나 있는 것.
18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서비스업 등록규제 수를 점검한 결과, 지난해 2월 3601개의 주된 규제 수는 올해 3월 4086개로 전년대비 485개(13.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지난해 3월 1차 규제개혁장관회의를 통해 1만5000여개의 전체 등록 규제(주된규제·부수적규제)를 2016년까지 20% 줄이고, 우선적으로 2014년엔 경제관련 규제 1만1000개를 10%(1100개) 감축하겠다고 발표했었다.
정부가 집중육성 대상으로 선정한 7대 유망 서비스업의 경우, 오히려 7개 전 분야에서 규제 수가 늘어나 전년대비 15.7%(345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해 7대 유망 서비스업 규제 수는 2199개였으나 올해는 345개 늘어난 2544개를 기록했다. 7대 유망 서비스업에서 늘어난 345개의 규제 증가분은 올해 늘어난 485개의 서비스업 규제 수의 71.1%에 해당한다.
세부적으로는 규제 증가 수에서 금융·보험업이 161개로 지난해보다 가장 많이 늘었으며, 출판·방송·정보통신이 22개로 가장 적었다. 전년대비 증가율로는 의료·보건·복지서비스 분야가 24.4%로 가장 많이 늘었고, 운송·창고업 부문이 7.2%로 가장 적게 늘었다.
늘어나는 서비스업 규제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업 육성 법안은 국회에 600일 넘게 계류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월 기획재정부에서 발표한 경제활성화 중점법안 중에서 국회 계류 중인 서비스업 관련 법안의 미처리 기간을 산출한 결과,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관광진흥법 등 5개 법안 평균 601일(약 1년 8개월)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관광진흥법',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의 경우 지난해 정부의 '서비스업 활성화' 기조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계류 중이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서비스업은 우리나라 GDP의 약 60%, 전체 고용의 70%가량을 차지할 정도로 핵심적인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관련 규제는 늘고 서비스업 진흥정책인 서비스업발전기본법, 관광진흥법 등은 계류 중인 상황"이라며 "조속히 정책적 환경을 구축해 내수활성화와 저성장 기조 극복에 서비스업이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