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증권사 3곳 중 2곳 급여 삭감

시계아이콘00분 4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62개 증권사 총급여 전년대비 6.55% 감소

[아시아경제 정재우 기자] 증권사 3곳 중 2곳이 임직원들의 급여를 7% 가까이 삭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시 불황으로 지점폐쇄, 인력 구조조정 등으로 비용절감에 나선 증권사들이 급여마저 ‘다이어트’한 셈이다.


5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3월 말까지 1년간 국내 증권사들이 지출한 급여 총액은 3조5253억원으로 전년대비 6.55% 감소했다. 임원의 급여를 따로 지정하고 있는 47개 증권사의 임원 급여는 6.1% 줄었다. 이는 영업보고서 재무제표의 손익계산서 판매관리비 안의 급여 계정 금액을 비교한 것이다.

총 62개 증권사 중 40개 증권사가 1년 전보다 급여 지출을 줄인 것으로 집계됐다. 3개사 중 2개사가 급여를 삭감했다는 얘기다. 대규모 구조조정으로 인한 인원 감축, 수수료 수익 감소 등으로 인한 인센티브 축소 등이 급여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실제로 증권사들은 1년간 총 181개 지점을 폐쇄하고 1503명의 임직원을 감축했다.


특히 골든브릿지증권과 토러스투자증권의 경우 급여가 1년 전에 비해 45% 이상 줄어 급여감소폭이 가장 컸다. 연초 자진청산을 결의한 애플투자증권도 38% 이상 급여가 삭감됐다.


전체 증권사 중 급여 지출이 가장 많은 삼성증권은 총 2942억원으로 전년대비 13.8% 줄었다. 급여지출 상위 10개 증권사 중 신한금융투자와 대우증권 2곳을 제외한 8개 증권사가 모두 급여 지출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증권사들은 비용절감을 위해 영업에 사용하는 접대비도 크게 줄였다. 3월 말 기준 62개 증권사가 1년간 접대비로 지출한 돈은 총 1547억원으로 전년대비 8.9% 감소했다. 증권사들이 접대비 지출을 줄인 것은 통계가 제공되기 시작한 2009년 이후 처음이다. 증권사 접대비는 2009년 1309억원에서 2010년 1576억원, 2011년 1698억원으로 지속 증가했다가 지난해 감소세로 돌아섰다.




정재우 기자 jjw@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