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다음달 15일 발효되는 미국과의 FTA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미국시장에서 선제적 가격인하에 나서고 FTA 원산지 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28일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는 ‘우리기업의 한미 FTA 활용전략’ 보고서를 통해 “미국은 중국에 이어 제2의 수출시장이지만 대중수출의 70%가 미국 등지의 우회수출임을 감안한다면 미국이야 말로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수출시장”이라면서 “한미 FTA 발효를 2005년 이래 2%로 하락한 미국시장 점유율을 다시 3%대로 끌어올릴 수 있는 기회로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상의는 한미 FTA 활용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선제적 가격인하로 시장점유율을 높일 것과 적기생산·A/S체계를 구축하고 현지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할 것, 대중소기업간 협력을 통해 미국 세관의 원산지검증에 대비할 것, 국내유턴의 가능성을 검토할 것 등 4대 전략을 제시했다.
▲선제적 가격인하로 시장점유율 확대
우선 보고서는 “선제적 가격인하로 미국시장 진출 및 시장점유율 확대에 적극 나설 것”을 주장했다. “한미 FTA가 발효되면 미국 소비자와 바이어들이 기존 거래제품과 비교하며 한국제품의 가격변화에 관심을 갖게 될 것”이라면서 “협정발효 초기부터 가격인하에 선제적으로 나서 미국시장의 기대에 부응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관세가 3년이나 5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폐지되는 물품들도 관세인하 일정에 맞춰 가격을 내리기보다 한꺼번에 인하하는 것이 미국 소비자들에게 좋은 평판을 확보하는 데에 효과적일 수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최근 경기침체의 여파로 미국 소비자들이 가격에 민감하다”면서 “지금이 가격인하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적기”라고 덧붙였다.
정부와 업계가 미국시장 개척을 위한 공동 프로모션에 적극 나설 필요성도 강조했다. 보고서는 “민관공동 해외바이어 상담회 개최, 한국상품 상설전시관 설치, 인터넷 포털사이트 등의 한국제품관 운영 등 코리아 붐을 일으키기 위한 프로모션 활동을 협정발효 초기에 집중적으로 펼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적기생산·A/S체계를 구축하고 현지기업과의 협력 강화
보고서는 “미국 바이어들은 시장의 수요변화에 맞춰 디자인이나 제품설계 등에서 새로운 요구를 많이 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적기생산시스템 등 신속한 대응능력을 갖추느냐의 여부가 미국시장 개척에 매우 중요하며, 애프터서비스나 물류시스템을 구축하는 일에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밝혔다.
상의는 “중소기업의 경우 미국시장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혼자만의 힘으로 시장개척에 성공하기가 쉽지 않다”면서 “실제로 많은 기업들이 현지 인허가 장벽에 부딪힌다든가 무역사기 또는 지재권 분쟁 등의 문제에 막혀 미국시장 진출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현지기업과의 파트너십을 맺고 미국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와 관련해 상의는 미국조달시장을 사례로 소개하며 “한미 FTA 유망분야인 미국 조달시장에서는 중소기업 우대제도가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미국 중소기업과의 컨소시움 형태로 진출하는 것이 성공률을 훨씬 높이는 길”이라고 설명했다.
▲대중소기업간 협력을 통해 미국세관의 원산지검증에 대비
보고서는 “한미 FTA의 경우 기업 스스로 원산지증명서를 작성하면 되기 때문에 원산지증명절차가 상당히 간소화되었지만 미국이 원산지검증을 가장 강력하게 추진하는 나라이고, 부정발급 적발시 관세추징은 물론 고액의 추가벌금을 물어야 하므로 원산지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원산지관리에 대한 조사와 감시도 강화됨을 유념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미국세관은 작년 섬유산업 한 분야에서만 9개국 165개 업체를 직접 방문해 조사한 전례가 있다.
이어 “현재 우리 중소기업의 원산지관리 능력이 관련서류 보관이나 전담인력을 두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면서 “특히 부품과 원재료에 대한 원산지 관리가 취약해 향후 미국세관이 직접검증에 나설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협력업체의 경우 원산지 증빙자료를 제공했을 때 원가정보 등 영업기밀이 노출될 것에 대한 우려가 많은 만큼 원재료에 대한 원산지관리가 성과를 거두려면 모기업과 협력업체간 신뢰관계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부의 지원강화를 주문하며 “정부가 원산지관리프로그램을 무료로 보급하고 있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이미 구축된 ERP시스템과의 연동이 어려워 활용에 애로가 많다”면서 “이러한 부분을 보완한다면 중소기업의 원산지관리역량 제고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내유턴 가능성 검토
상의는 “최근 중국, 동남아 등의 현지 임금상승과 규제확대 등으로 해외생산여건은 악화된 반면 세계경제의 61% 지역과 FTA가 발효된 결과로 국내 생산여건은 크게 개선됐다”면서 “이제는 FTA 특혜관세효과, Made in Korea의 브랜드가치 효과 등을 고려해 국내유턴의 가능성을 검토할 때”임을 강조했다.
보고서는 “해외진출기업의 국내유턴이 촉진되면 일자리 창출 등 국가경제 전체에도 도움이 되는 만큼 정부도 유턴기업에 대해 세제지원을 강화하고 유턴 희망기업에 대한 One-stop 지원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보고서는 △수출품목의 다변화 모색 △유망수출 품목의 집중 공략 △FTA이후 피해발생시 정부지원제도 활용 등의 전략을 제시했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한미 FTA 발효로 세계경제의 3분의 2에 달하는 지역이 FTA 자유무역지대로 연결돼 해외시장에서의 우리기업의 경쟁력이 크게 높아졌다”면서 “최근 유럽재정위기 이후 수출여건이 크게 악화되었는데 한미 FTA를 침체된 수출활력 회복의 기회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