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정부의 제약산업 육성책이 다소 '뜬구름 잡기'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김원종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제약산업에 대기업 참여가 활성화 되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목표 달성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고 6일 말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날 2020년까지 글로벌 제약사 12곳, 글로벌 신약 10개를 만들어내겠다는 일련의 산업 육성책을 발표했다. 한미FTA 발효와 일괄 약가인하에 따른 제약산업 위축 우려에 대한 정부 측 대책이다.
첫 단추로 정부는 올 4월까지 '혁신형 제약기업'을 선정해 발표하기로 했다. 대상은 ▶매출액 1000억원 이상이며 연구개발비 5% 이상 지출하는 제약사 ▶매출액 1000억원 미만이면서 연구개발비 7% 이상 또는 50억원 이상 지출 제약사 ▶미국 또는 유럽연합 기준(cGMP) 생산시설 보유 기업이면서 연구개발비 3% 이상 지출 기업 등이다.
2011년까지 3개년 평균을 기준으로 하는데, 2010년 기준으로 시뮬레이션을 해보니 총 54개 제약사가 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복지부는 파악했다. 54개 중 전통적인 제약기업은 20개 미만이며 나머지는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와 같은 소형 바이오 기업이 포함됐다. 국내에서 임상시험을 진행하는 다국적제약사의 한국 지사 2곳도 들어있다.
김 국장은 이날 브리핑 후 기자들과 만나 "특히 바이오시밀러 분야에 삼성전자, 한화케미칼, LG생명과학 등 대기업이 진출하면서 글로벌 제품이 많이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혁신형 제약기업에 선정되지 못한 중소형 제약사들은 앞으로 장사하기가 쉽지 않게 됐다. 정부의 산업 육성책에 나온 약가우대 정책, 세제혜택 등은 혁신형 제약기업에게만 해당되는 '차별적 지원'이기 때문이다.
단순 복제약에 대해선 앞으로도 지속적인 약가인하를 통해 건강보험 재정을 건전화 하는 한편, 국민건강과 보험재정 절감에 기여하는 개량형 의약품에 대해서만 지원을 집중하기로 했다는 김 국장의 발언도 이런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는 "정부의 지원이 글로벌 신약개발에 충분한 규모라 말하긴 어려우나, 발전하고 있는 국내 R&D 능력과 대기업의 참여 등을 고려하면 마냥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라며 "오히려 목표보다 더 많은 성과를 낼 수도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신범수 기자 answe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