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100년기업의 조건]변화를 지배한 115년의 '도전정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2분 12초

100년기업|두산

[100년기업의 조건]변화를 지배한 115년의 '도전정신' 두산중공업쿠웨이트 사비야 담수 플랜트용 증발기를 바지선에 선적하는 장면.
AD


두산을 올해로 창립 115주년을 맞는다. 그런데 두산은 스스로 ‘청년 두산’이라고 부른다. 가장 오래된 기업이긴 하지만 가장 빠르게 변화하며 성장하기 때문이다. 끊임없는 변화, 원칙있는 환경 적응력이 국내 최장수 기업 두산의 성장동력이다.

두산의 창업주는 박승직 선생. 1864년 경기도 광주에 태어난 박승직 선생은 보부상으로 활동하다 1896년 서울 배오개 시장(지금의 종로4가)에서 ‘박승직 상점’을 열었다. 박승직 상점이 두산의 모태다.


박승직 선생의 장남인 고(故) 박두병 초대 회장이 1946년 두산상회(현 두산글로넷)로 바꿈으로써 두산은 새로운 장을 열었다. 이후 두산은 동양맥주, 두산산업, 동산토건(현 두산건설), 한양식품 등을 설립하면서 소비재 산업, 무역업, 건설업 등을 중심으로 성장했다.

두산은 발빠르게 변신한다. 두산은 소비재 위주의 사업포트폴리오를 재구성키로 했다. 한국네슬레, 한국3M, 한국코닥 지분은 물론 OB맥주 영등포 공장을 매각해 현금흐름개선에 주력했다.


1997년에 시작된 외환위기로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두산은 새로운 미래성장동력을 찾아 나섰다. 두산은 1997년에 음료사업을, 1998년에 주력사업인 OB맥주와 서울 을지로 본사 사옥을 매각했다. 선제적 구조조정으로 현금흐름을 개선함과 동시에 넉넉한 현금을 확보했다.


두산이 새롭게 눈을 돌린 분야는 인프라 지원사업(ISB, Infrastructure Support Business)이었다.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 기존의 사회 간접시설뿐만 아니라 에너지, 국방, 생산설비, 물류와 운송설비까지 망라하는 ISB사업은 세계시장 규모가 연간 수천 조원에 달하는 거대 시장이었기 때문이다.


첫 출발은 2001년 한국중공업(현 두산중공업)의 인수였다. 인수 당시만 해도 소비재 사업을 하던 두산이 중공업을 맡을 수 있겠냐는 우려가 많았다. 두산중공업은 저 수익 사업이던 제철, 화공 사업을 정리하고 발전, 담수 등 핵심사업에 역량을 집중했다. 여기에 두산의 100년 경영능력을 접목시켰다.


[100년기업의 조건]변화를 지배한 115년의 '도전정신'

두산은 이후 2003년에 고려산업개발(현 두산건설), 2005년에 대우종합기계(현 두산인프라코어) 등을 인수하며 국내 굴지의 중공업그룹으로 도약했다.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담수설비(두산하이드로테크놀러지),발전소 보일러(두산밥콕),친환경 엔진(미국 CTI사), 소형 건설장비(밥캣) 등 원천기술을 확보한 외국 회사들도 차례로 인수했다.


이들 기업은 모두 인프라지원사업(ISB) 분야에서 원천기술을 갖고 있다. 담수설비와 보일러 부문에서 원천기술을 확보한 두산중공업은 발전분야로 눈을 돌려 2008년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CCS) 원천기술 보유 업체인 캐나다 HTC사 지분 15%를 인수했다. 또한 2009년에는 터빈 제조 분야에서 원천기술을 갖고 있는 체코 스코다 파워 인수를 통해 보일러-터빈-발전기로 이어지는 ‘풀 라인업’을 구축했다.


두산의 변신은 성공적이었다. 구조조정을 진행하던 1998년 3조3000억원이던 매출액은 지난해에 24조6000억원으로, 영업이익은 700억원에서 1조8000억원으로 급증했다.


두산의 경영전략 중에 기본은 2G(Growth of People, Growth of Business) 전략이다. 2G 전략은 사람의 성장을 통해 사업의 성장을 이끌고 다시 사업의 성장을 통해 나온 가치로 사람의 성장을 유도한다는 선순환적 개념으로 박용현 회장 역시 이 전략을 통해 인재중심 경영을 펼치고 있다.


박용현 회장은 지난해 11월에 열린 신입사원 환영식에서 “두산은 사람을 키우고 성장시키는 방법이 남다른, 사람을 소중히 여기는 기업”이라며 “여러분의 선택이 옳은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인재중심 경영에 따라 지난해 사상 최대 규모로 2200명을 채용했으며, 올해도 대졸 신입사원 1040명을 포함해 2300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두산의 비전은 2020년 글로벌 200대 기업 도약이다. 두산은 글로벌 200대 기업 도약을 위해 경쟁사가 따라올 수 없는 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박용현 회장도 “진정한 글로벌 기업이 되려면 시장을 선도하는 고부가가치 핵심기술 개발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관심을 쏟고 있다.


실제로 두산은 지난 2009년 처음으로 포춘이 선정하는 글로벌 500대 기업에 선정됐다. 두산은 이러한 추세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가기 위해 △’사람이 미래다’라는 인재중시 철학 강화 △사업 전반에 걸친 질적 성장 추구 △사회적 책임의 지속적 실천 △보다 건전하고 바람직한 기업문화 정착 등 4대 중점 과제 실행을 통해 올해 사상 최대 실적인 매출 27조 7000억원, 영업이익 2조 2000억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두산은 지속적으로 ISB 사업에 집중해 나갈 방침이다. 이는 단순히 해외에 진출한다는 것 자체에 의미를 두지 않고 회사의 가치 창출과 수익을 전제로 지역과 제품에서 선택과 집중을 추구한다는 뜻이다. 이를 위해 밥캣, 밥콕, 스코다 파워 등 해외 계열사들과의 시너지 효과도 극대화하고 친환경설비, 신재생에너지 등 미래사업 기술개발에도 주력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두산은 M&A와 같이 새로운 엔진 발굴을 통한 스피드 성장을 의미하는 비유기적(Inorganic) 성장과, 운영 효율 향상과 수익구조 개선 등 자체 역량 강화를 의미하는 유기적(Organic) 성장을 병행해 진정한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전략이다.


<ⓒ 이코노믹 리뷰(er.asiae.co.kr) - 리더를 위한 고품격 시사경제주간지,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