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부, 구제역으로 우유 줄자 할당관세 도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0초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정부가 구제역 사태로 우유 생산이 줄어들자 유제품에 할당관세를 도입하고 시장접근 물량을 조기 수입키로 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최근 구제역으로 인해 젖소가 감소해 우유 생산량도 7% 정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돼 유제품 시장접근물량 2157t을 올해 1·4분기 조기 수입하고 탈지·전지분유 할당관세 도입을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또 원유 생산기반을 늘리기 위해 낙농진흥회 기준원유량(쿼터)의 5%를 한시적으로 2년간 증량하기로 했다. 일반 유업체에 소속돼 있는 농가들도 이미 쿼터를 증량했거나 증량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쿼터산정 방법도 현행 15일마다 계산하던 방식을 연간으로 계산하는 '연간총량쿼터제'로 전환할 예정이다. 연간총량쿼터제가 도입되면 앞으로 농가들이 정상우유가격을 받을 수 있는 쿼터량을 맞추기가 쉬워져 보다 적극적으로 우유 생산을 늘려 나갈 수 있다.


농식품부는 올해 원유 생산량은 193만1000t으로 전년 대비 6.8% 감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현재 분유재고량은 1000여t 수준으로 적정재고(5000∼6000t)에 훨씬 못 미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국내 원유 생산량의 74%를 소비하는 신선우유는 공급이 가능하지만 분유 등 유제품은 부족할 것으로 예상돼 적기 수입을 통해 가격을 안정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고형광 기자 kohk0101@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